오늘날, 그 어떠한 기업도 경쟁에서 홀로 살아남을 수 없다. 시장 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기업들은 경쟁에 필요한 규모의 경제, 범위의 경제, 스피드의 경제를 동시에 확보하기가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결국 기업들은 자신이 갖지 못한 것을 가진 다른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전략적 제휴는 경쟁 관계 또는 관련 사업에 있는 기업과 일부 사업이나 기능별 부문에서 일시적으로 제휴를 맺고 상호 협력하는 관계를 의미한다. 즉, 기술•생산•자본 등의 기업 기능에 2개 또는 그 이상의 다수 기업이 제휴하는 것을 총칭한다. 특히 기술혁신 속도가 빠른 첨단제조 분야에서 신기술 습득 및 새로운 시장 진출을 목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은행•보험•항공•운송 등과 같은 서비스 부문에서도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전략적 제휴는, 원하는 능력을 얻는데 효과적이고 저렴하며, 목적 달성 후에도 철수가 수월하고, 규모의 경제 추구, 위험 및 투자비용의 분산, 경쟁우위 기술의 보완적 공유, 신제품 개발과 시장진입의 속도 단축, 과다한 경쟁방지, 유동성의 확보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빌더스넷도 그 흐름에 맞추어 단순 건설자재 구매대행 일변도에서 벗어나, 전략적 제휴를 통한 건설사 본사와 현장을 아우르는 다양한 구매대행 서비스를 제공 중에 있다. 빌더스넷의 가장 큰 무형자산이라고 할 수 있는 우수 공급업체 Pool(2005년 9월 현재 5,500여 업체)과 수요업체 Pool (100여 업체)을 단순히 건자재로만 묶는 것이 아닌, 본사 및 현장 운영에 필요한 모든 자재/기기/용품/서비스 등으로 확대하여 보다 큰 가치창출의 기회를 상호 제공하는 것이다. 가장 흔히 사용되는 사무/전산/판촉용품의 경우, 빌더스넷은 국내 굴지의 사무/전산/판촉용품 생산/유통업체인 A社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빌더스넷은 영업 및 마케팅을, A社는 납기 및 A/S를 담당 기능을 분리하여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 빌더스넷 입장에서는 기존의 건설 고객사들을 대상으로 영업을 추진하여 보다 손쉽게 고객군을 확대할 수 있고, A社는 영업에 필요한 인력을 물류 및 고객 대응 업무로 전환하여 납기 개선, 고객 만족도 제고, 나아가 수익의 확대에 이르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 고객사의 입장에서도, 자칫 유통단계의 증가로 인한 비용상의 불이익을 질문할 수 있으나, 주요 품목은 공장에서 직접 생산하여 유통 마진을 최소화 하고, 유통이 불가피한 경우에는 전략구매 기법을 통해 최적의 업체들을 Sourcing 하고 있으며, 다수 고객의 물량을 통합한 연간 단가를 채택하여 비용상승의 우려를 원천적으로 봉쇄하고 있다. 건축 공사의 마감단계인 인테리어 사업 또한 우수 인테리어 업체와의 다각적인 제휴를 통해 그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사무용품 업체와의 전략적 제휴와 같은 방식으로, 사무실/주거공간에 대한 영업 및 마케팅 업무는 빌더스넷이, 시공 및 A/S는 제휴 인테리어업체가 담당함으로써 원활한 업무 프로세스를 구성하였다. 추가적으로, 인테리어 공사에 소요되는 자재들에 대해서도, 빌더스넷의 전략/통합구매를 통해 인테리어 시공업체에 직접 공급합으로써 원가 절감의 혜택도 고객에게 전달하고 있다. 기존에는 어느 한쪽이 주도권을 갖는 계열화, 자회사화의 측면이 강했지만, 서로 역량 있는 분야에 집중하여 시너지 효과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전략적 제휴는 차별화 되고 있다. 빌더스넷은 건설/건축자재의 굴레를 벗어나, 건설회사 본사 및 일반 회사의 수요까지 대응할 수 있도록 사업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조직을 무분별하게 늘림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최소화 하고, 빌더스넷의 가장 큰 역량인 우수 업체 네트워크를 활용한 전략적 제휴를 통해 그 해법을 찾고 있는 것이다. 다음 편에는 제조업체 공장 및 Plant를 운영 유지하는데 필요한 MRO 구매 대행에 대해 빌더스넷이 가지고 있는 혁신 방안을 언급하도록 하겠다. [한경닷컴 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