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인적자원부는 세계 수준의 연구중심대학 육성과 과학기술ㆍ인문사회 분야 고급 연구인력 양성을 목표로 한 2단계 BK21(두뇌한국)사업 방안을 어제 BK21기획자문위원회에 보고했다. 내년부터 2012년까지 2조1000억원을 투입해 분야별 대학원 특성화,산학협력 활성화,평가 및 관리체제 혁신 등을 중점 추진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미래 성장동력 창출(創出)에 필요한 고급두뇌 양성이 어느 때보다 시급한 실정에서 이 사업에 큰 기대를 갖지 않을 수 없다. 지난 1999년부터 올해까지 이뤄진 1단계 BK21사업은 대학의 연구능력을 끌어올리고,연구중심대학체제 구축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등 나름대로 성과를 거두기는 했지만 지원분야가 제한됐고,지역을 기반으로 한 특성화가 미흡했을 뿐 아니라 사업성과에 대한 평가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등 많은 문제점을 드러낸 것 또한 사실이다. 특히 지역 및 대학간 균형이라는 명분에 매달려 선택과 집중의 원칙이 훼손되는가 하면 나눠먹기식으로 낭비만 초래했다는 논란이 빚어지기도 했다. 그런 점에서 2단계 사업이 종전의 대학간 컨소시엄 대신 대학별 지원 방식으로 전환하고,지원자격 요건을 대폭 완화(緩和)하면서 선정 대상을 늘리기로 한 것은 바람직한 개선방향이다. 실력과 경쟁력을 지원기준으로 삼음으로써 규모가 작은 지방의 군소 대학도 독자적으로 지원받을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는 점에서 그렇다. 특히 해외 석학,산업계 등이 참가하는 상시평가체제를 구축해 사업단을 보다 철저히 관리키로 한 것은 이 사업의 성과를 높이는데 도움이 될 만하다. 평가기준도 해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수 등 획일적 잣대가 아니라 계열별 분야별 특성에 맞는 방법을 적용하고,생명공학 등 첨단 분야의 학부와 학과를 통합한 특성화 단과대에 인센티브를 제공한다는 방침이고 보면 이를 통해 대학의 구조조정까지 촉진할 수 있다는 점 또한 중요한 기대 효과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같은 목표들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실천계획이 마련되고 차질없이 추진돼야 한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선 심사와 평가과정에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확보해 낭비요소부터 제거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이다. 특히 이번 사업이 적극적인 대학구조조정까지 겨냥하고 있는 만큼,이에 따른 부작용에 대한 보다 면밀한 검토와 보완대책 강구가 이뤄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