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연대와 레미콘연대에 이어 화물연대가 18일 파업에 들어가기로 결정함에 따라 2003년 발생했던 물류대란이 재발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화물연대의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자재 수급과 생산제품 수출 등에 막대한 피해를 줄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에선 화물연대가 파업 돌입을 선언할 것으로 예상되는 오는 주말께부터 화물차(화물연대),덤프차(덤프연대),레미콘(레미콘연대)의 연대 총파업에 따른 충격이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자동차 수출 등 차질 우려 관련 업계는 물류 관련 노조의 동시 파업이 발생할 것에 대비,긴장감을 늦추지 못하고 있다. 건설업계 등에 따르면 이미 지난 13일부터 덤프연대 총파업으로 전국 건설현장 곳곳에서 공사가 중단되는 등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덤프연대 파업으로 전국 13개 건설현장 공사 현장에서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며 "흙을 실어나를 덤프트럭이 없어 손을 놓고 있는 상태"라고 말했다. 전자제품 자동차 무역 등 물류비중이 높은 관련 업계도 파업강도와 기간 등을 점치며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파업이 장기화된다면 자동차 수출이나 부품 운반 등 산업에도 차질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기아자동차 관계자는 "파업이 단기에 그치면 철도나 개인 화물차 등 대체 운송수단을 통한 부품 조달이 가능하지만 장기화되면 부품 조달과 조업에 차질을 빚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왜 파업하나 화물연대는 지난 2003년에 이어 3년 연속 파업카드를 빼들었다. 이유는 '생계형'처우개선.이들은 운송료 현실화와 면세유 지급, 고속도로 통행료 인하, 과적단속 완화 등 운행환경 개선을 주요 요구사항으로 내걸고 있다. 화물연대는 "고유가 시대를 맞아 중계회사를 통한 다단계 도급으로 생계유지가 어렵다"며 "정부는 기름값 보조방안을 마련하는 등 대책을 세워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여기에 지난 9월10일 부산시 남구 신선대 컨테이너터미널 정문 앞에서 트레일러 운전사인 김동윤씨가 분신 자살을 기도, 13일 숨지는 사건이 발생한 것도 파업 결의를 촉발시킨 한 원인이다. 정부측은 생계지원형 유가보조금에 대한 압류를 제한하는 법적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국회에 법안을 제출하는 등 유가보조금 제도 개선에 나섰지만 통과가능성이 불투명한 상태다. ◆업무개시 명령 등으로 대응 정부는 불법 다단계 알선행위 근절과 과적단속제도 완화를 위해 법 개정을 추진키로 했으며 화물운수산업의 제도개선 등을 협의하는 등 파업을 막기 위한 대책을 수립 했다. 정부는 이번 파업이 국가경제적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힌다고 판단되면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업무개시명령을 내리고,파업비 가담 조합원에 대한 협박 등의 불법행위가 적발될 경우 사법처리하는 등 강력대응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이번 파업의 강도가 과거보다는 다소 작을 것이라는 관측이 노동부 등에서 나오고 있다. 지난 2003년 3만명에 달했던 화물연대 조합원 규모가 현재 4분의 1수준인 7500여명으로 줄어들었다는게 첫번째 근거다. 핵심 쟁점인 면세유 지급,노동자성 인정 등은 관련 법 개정사항으로 정치권의 결단이 관건인데다 화물연대의 경우 지도부 대부분이 지난 2003년 불법파업과 관련,집행유예 상태에 있어 강력한 투쟁을 또 벌이기 어렵다는 전망도 있다. 이관우 기자 leebro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