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기준 27년만에 바뀐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수질환경기준이 27년 만에 선진국 수준으로 바뀐다.
이에 따라 정부의 물 관련 정책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
환경부는 생태적으로 건강한 수질환경 조성을 위해 현재 9개인 수질기준 항목을 오는 2015년까지 30여개로 늘릴 방침이라고 18일 발표했다.
환경부는 이를 위해 내년 중 관계법령을 개정하고 2007년부터 단계적으로 시행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BOD(생물학적산소요구량),COD(화학적산소요구량) 등 화학적 기준 위주의 현행 수질기준에 생활환경 및 생물학적 기준을 추가하는 등 수질환경 평가방법을 다양화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수질기준 설정검토 대상으로 선정된 43개 항목 중 2007년까지 클로로포름 등 5개 항목을 추가,전체 수질기준 항목을 14개로 늘리고 오는 2015년까지는 기준항목을 30여개로 세분화할 방침이다.
현재 유럽연합의 수질기준 항목은 29개,미국은 120개 항목에 달하고 있다.
개별 오염물질에 대한 기준도 크게 강화된다.
납과 카드뮴의 경우 0.1ppm과 0.01ppm으로 돼 있는 기준치를 0.05ppm과 0.005ppm으로 각각 강화된다.
환경부는 또 수질별로 서식하는 어류 등 지표종을 추가로 개발하고 현재 Ⅰ,Ⅱ,Ⅲ,Ⅳ,Ⅴ급수 등 5등급으로 돼있는 수치형 등급명칭을 '매우 좋음' '좋음' '약간 좋음' '보통' '약간 나쁨' '나쁨' '매우 나쁨' 등 서술형 7등급으로 바꾸기로 했다.
이관우 기자 leeb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