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현대와 계약파기' 위협] 정부, 사태해결 중재 나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는 북한의 이번 담화 내용에 대해 "현대의 대북 사업이 중단될 경우 현대뿐만 아니라 북한도 손실을 입게 된다"며 "현재의 갈등 상황을 조기 수습하기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2000년 현대와 북한 간에 체결된 7대 협력사업 합의서에 대해서는 "쌍방이 합의한 내용은 존중돼야 한다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며 "그런 방향으로 합의 내용이 지켜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봉조 통일부 차관은 이날 내외신 정례 브리핑에서 "정부는 금강산 관광사업이 원만히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데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상호 이해와 협조 속에서 대화를 통해 조속히 대북 사업이 정상화되기를 바라며 정부도 금강산 관광 정상화를 위해 도울 수 있는 방안은 적극 돕겠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 조선아·태평화위의 담화 내용에 대해 "기존 현대와 북한 사이의 갈등을 정리한 것으로 새로운 내용이 담겨져 있는 것 같지는 않다"며 "오히려 해결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 같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중재 방안과 관련,통일부는 지난 9월 장관급 회담에서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이종혁 아·태위원장과 현정은 현대 회장의 만남을 주선한 사례를 들면서 "구체적인 문제들은 사업 당사자 간 만나서 풀어 나가야 할 문제"라며 "정부는 이러한 방향으로 사태가 해결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당장 구체적인 해법을 내놓기보다는 상황 전개를 봐가며 여러 가지 방안을 강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이달 말 개성에서 열릴 예정인 경제협력추진위원회에서 정부측 입장이 전달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