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31 부동산대책의 영향으로 지난달 전국 땅값 상승률이 크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교통부가 21일 발표한 '9월 전국 토지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땅값은 평균 0.19% 오르는 데 그쳤다. 이는 한 달 전(0.45%)에 비해 상승률이 절반 이하로 둔화된 수치다. 다만 올 들어 1~9월 중 누계 상승률은 3.83%로 지난해 연간 상승률(3.86%)에 바짝 다가섰다. 시·도별로는 서울(0.23%) 대전(0.22%) 충남(0.21%) 대구(0.2%) 경기(0.2%) 등이 전국 평균을 웃돌았고 울산(-0.04%)은 내림세를 보였다. 수도권 전체로는 0.22% 올랐다. 시·군·구별로는 기업도시 시범사업지로 선정된 전북 무주가 1.59%로 가장 많이 올랐고,부천 소사(0.80%),전남 나주(0.65%),충남 공주(0.61%) 등이 뒤를 이었다. 서울에서는 청계천 복원과 뉴타운 개발 등의 영향으로 성동구(0.57%) 중구(0.53%) 은평구(0.51%) 등의 오름세가 눈에 띄었다. 용도지역별로는 녹지지역(0.37%) 관리지역(0.23%) 공업지역(0.21%)이,이용상황별로는 밭(0.39%) 논(0.3%) 임야(0.22%)가 땅값 상승을 주도했다. 반면 토지거래량은 지난달 21만43필지(7428만평)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7%(면적은 10.3%) 늘어났다. 건교부 관계자는 "아파트 등 주택용지가 전년동기 대비 29% 늘었고 행정·기업도시 등 각종 개발대상지 주변의 농지·임야 거래가 꾸준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지난해 9월의 경우 재건축 개발이익환수제 등 규제 강화로 아파트 거래필지가 급감했었던데다 올 들어서도 월별로는 토지거래가 계속 줄고 있어 통계와 달리 땅값과 토지거래가 동반 위축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강황식 기자 his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