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31대책의 하나로 제시된 강북개발에 대한 입법화가 진행되면서 강북도 강남 못지 않은 좋은 주거환경을 누릴 수 있을 지 주목된다. 용적률 인센티브를 줘서 상업지구에는 40-60층짜리 고층 건물이 들어서고 뉴타운 사업에 국고를 지원하는 방안도 추진되고 있다. 이 혜택은 대부분 강북지역에 집중된다. 24일 건설교통부와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6월 299곳이 재개발예정구역으로 지정된 데 이어 최근 361곳이 재건축예정구역으로 예고됐다. 뉴타운도 이번에 후보지로 지정된 3차까지 포함하면 총 26곳에서 추진되는데 이 대부분이 강북지역에 몰려있다. 특히 강북지역 개발을 위해 당정이 추진중인 도시구조개선 특별법에서는 이 법을 적용받는 지역의 경우 주거.상업지역 용적률이 각각 최고 500%, 1천500%로 상향될 예정이다. 상업지역에는 40-60층 초고층 아파트와 빌딩이 대거 들어설 수 있게 된 셈이다. 또 특별법에는 지구내 설치되는 도로, 공원 등 기반시설 설치 비용을 국가가 예산지원하거나 국민주택기금으로 융자할 수 있도록 돼 있다. 그동안 재원이 부족해 지지부진했던 뉴타운 사업의 추진속도가 한층 탄력을 받을 수 있게 됐다. RE멤버스 고종완 대표는 "그동안 서울시에만 맡겨뒀던 강북 개발에 대한 정부의 강한 의지가 읽혀진다"면서 "입법이 차질없이 진행되면 강북의 주거 질도 높아져 강남과의 격차도 많이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아직까지 정부의 강북개발에 크게 고무되지는 않는 분위기다. 왕십리뉴타운 인근에서 영업중인 신화공인 관계자는 "도시구조개선지구에서는 공영개발 방식으로 이뤄진다는데 대해 반감이 크다"면서 "재산권 행사에 제약을 받는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도시구조개선지구 지정을 신청할 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8.31대책 이후 오름세를 타던 재개발 지분값도 재개발 입주권을 주택으로 간주하겠다는 정부의 방침이 발표된 이후에는 조정 양상을 보이는 등 강북 광역개발에 대한 기대감은 거의 없는 상황이다. 고종완 대표는 "아직까지는 민영개발 방식에 미련을 보이는 사람들이 많이 있지만 빠른 사업속도 등 도시구조개선지구의 장점이 부각되기 시작하면 분위기는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정진 기자 transil@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