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폰서 섹션] 일류기술 일등상품..."우리가 미래의 주역"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휴대폰으로 세탁기 빨래를 돌리고, 사무실에 앉아 집 방문객의 영상을 확인하고, 주머니 속에 넣어 둔 디스플레이를 꺼내서 카페 안에서 친구와 화상 대화를 나눈다…'. 더 이상 공상 속의 얘기가 아니다.
이들 첨단 정보통신기술은 이미 우리 생활 속에 성큼 다가와 미래를 바꿔놓을 준비를 하고 있다.
'사이버공간' '초고속정보망' '가상공동체' 등의 은유적 단어로 표현되고 있는 오늘의 정보화 사회는 우리가 지금까지 경험했던 산업사회와 여러 가지 면에서 다르다.
경제·정치·문화적 구조에 있어서도 그렇지만, 그 속에서 사는 사람들의 의식에 있어서도 상당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산업화 사회의 꽃이 철강산업이라면, 정보화 사회에서는 정보통신(IT) 산업이다.
70~80년대 우리경제의 주역이었던 제조업의 공동화가 지속되면서 IT산업은 우리경제의 성장 동력으로 새롭게 자리 잡았다.
정보통신기술의 기하급수적 발전을 바탕으로 생명공학(BT)과 나노기술(NT), 문화기술(CT), 연예기술(ET) 등 많은 새로운 산업혁명이 빠른 속도로 전개되고 있는 것만 보아도 쉽게 알 수 있다.
다행히 한국은 정보통신 분야에서 원천기술은 없었으나, 응용기술에서 세계를 선도하는 분야가 생기기 시작했다휴대폰이 대표적인 예다.
정보통신 대표기업 삼성전자는 지난해 휴대폰 8,600만대를 생산해 이중 7,900만대를 수출하며 한국 총 수출액의 6.5%를 담당했다.
미래를 빠르게 예측하고 다른 기업보다 발 빠른 대응을 한 결과물이다.
1970년대 불량품의 대명사였던 일본 수출품들이 80~90년대 몇 개 분야에서 우수한 제품들을 쏟아내면서 싸구려 이미지에서 완전 탈피하고, 모든 일본 제품의 비 가격경쟁력과 국가 이미지 개선에도 크게 공헌한 사례를 우리는 잘 알고 있다.
삼성전자의 휴대폰이 우리 수출상품들의 비 가격경쟁력 향상과 국가이미지 개선에 도움을 준 것처럼, '보이지 않는 전쟁터'에서 묵묵히 '산업 한국'의 한 축을 담당하는 차세대 유망기업들이 있다.
국내 자동차오디오 튜너시장의 80%와 중국 및 동남아 시장의 60%를 점유하고 있는 (주)티비케이전자와 EDM와이어(방전가공용 전극선) 단일 품목으로 업계 최초 1000만불 수출탑을 수상한 (주)풍국통상, 스테인리스 정밀강관 생산량의 40%를 미국과 일본에 수출하며 외화벌이에 한몫하고 있는 (주)새한정관이 바로 그런 회사들이다.
또 조선 기자재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며 연 200억 원의 외산장비 수입대체 효과를 이끌어낸 (주)세일세레스와 조류독감 항원진단 키트를 비롯해 사스와 에이즈, 간암시약 등 약 60여종의 다양한 질병진단 키트를 자체 개발한 (주)에스디, 현존하는 모든 책을 전자책화 할 수 있는 'e Book Studio'솔루션을 자체 개발한 (주)이앤아이월드도 기술력 하나로 실적행진을 계속하는 유망 성장주다.
기업 간 경쟁에서 품질과 서비스의 중요성은 기회 있을 때마다 강조해도 모자라는 법.제품은 물론 서비스에서도 명확하게 차별화가 이뤄져야 기업 경쟁력이 높아지며 초일류기업으로 발돋움할 수 있다.
뛰어난 기술력으로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다 소리 소문 없이 사라진 중소기업들은 한 둘이 아니다.
일류기술, 일등상품으로 무장하고 아수라장의 전쟁 속에서도 '부상'을 입지 않고 있는 '보무도 당당한' 미래 산업한국의 주역들을 조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