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폰시장 내년 3월까지 비수기? .. 장기가입자들 교체 미룰듯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휴대폰 내수시장이 내년 3월까지 소강 국면을 맞게 됐다.
1550만 가입자가 보조금 혜택을 받기 위해 휴대폰이나 서비스 회사 교체를 미루려 할 것이기 때문이다.
26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정보통신부의 '휴대폰 보조금 지급 부분 허용' 방침으로 내년 3월부터 혜택을 받을 수 있는 3년 이상 장기 가입자는 1550만명(7월 말 현재)으로 집계됐다.
여기에 내년 7월에 가입 기간이 3년을 넘어서는 2년 이상 가입자까지 포함할 경우 보조금 수혜 대기자는 전체의 51.8%인 1950만명에 달한다.
이들은 보조금 수혜 조건을 맞추기 위해 휴대폰 구입이나 이동통신 서비스 회사 변경을 미룰 것으로 보인다.
SK텔레콤 대리점 관계자는 "정통부의 보조금 부분 허용 방침 때문에 내년 3월 말까지 휴대폰 판매가 상당히 위축받을 것으로 우려된다"고 말했다.
삼성전자 LG전자 팬택계열 등 휴대폰 3사는 내년 3월까지 신제품 출시 등 마케팅 전략 수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보조금 허용 범위 등 정통부의 세부 방침이 확정되는 대로 대책을 세울 예정"이라고 밝혔다.
팬택계열 관계자는 "보조금 부분 허용에 따른 영향을 내년도 사업계획에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LG전자 역시 시장 추이를 지켜보며 마케팅 전략을 수정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올해 초 번호이동제 전면 실시에 따라 뜨겁게 달아올랐던 이동통신 3사 간 가입자 뺏기 경쟁도 내년 3월까지 잠잠해질 가능성이 커졌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정통부의 보조금 부분 허용 방침이 확정되면 가입자들이 보조금 수혜 조건인 한 회사 가입 기간 3년을 채우기 위해 서비스 회사를 바꾸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정통부는 3년 이상 장기 가입한 이용자에게 보조금 지급을 허용하는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을 이달 말까지 마련할 예정이다.
개정안은 다음 달 초 입법예고와 국회 의결 절차를 거쳐 내년 3월부터 시행된다.
최명수 기자 ma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