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폰 내년 3월까지 비수기?‥ 장기가입자들 보조금 혜택위해 교체 미룰듯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휴대폰 내수시장이 내년 3월까지 소강 국면을 맞게 됐다.
장기 가입자들이 보조금 혜택을 받기 위해 휴대폰이나 서비스 회사 교체를 미루려 할 것이기 때문이다.
2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정보통신부의 '휴대폰 보조금 지급 부분 허용' 방침에 따라 내년 3월부터 혜택을 받을 수 있는 3년 이상 장기 가입자는 1550만명으로 집계됐다.
여기에 내년 7월 3년을 넘기는 가입자를 포함하면 전체의 51.8%인 1950만명에 달한다.
이들은 보조금 수혜 조건을 맞추기 위해 휴대폰 구입이나 이동통신 서비스 회사 변경을 미룰 것으로 보인다.
SK텔레콤 대리점 관계자는 "정통부의 보조금 부분 허용 방침 때문에 내년 3월 말까지 휴대폰 판매가 상당히 위축받을 것으로 우려된다"고 말했다.
휴대폰 업계는 내년 3월까지 신제품 출시 등 마케팅 전략 수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삼성전자는 보조금에 관한 정통부 세부 방침이 확정되는 대로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팬택계열도 보조금 부분 허용에 따른 영향을 내년 사업계획에 반영하기로 했고,LG전자는 시장 추이를 지켜보며 마케팅 전략을 수정할 예정이다.
이동통신 업계의 번호이동 가입자 쟁탈전도 내년 3월까지 잠잠해질 것으로 보인다.
정통부는 3년 이상 장기 가입한 이용자에게 보조금 지급을 허용하는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을 이달 말까지 마련할 예정이다.
개정안은 다음 달 초 입법예고와 국회 의결 절차를 거치게 된다.
최명수 기자 ma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