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6 재선거 후폭풍 예고] 힘빠진 文체제 … 당정쇄신론 탄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열린우리당의 참패로 끝난 10·26 재선거는 여권에 엄청난 후폭풍을 예고한다.
지난 4월 선거에서 23전 23패를 기록한 데 이은 이번 패배로 심각한 민심 이반을 재확인함에 따라 여권 내부에서 대대적인 당정 쇄신론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당장 당 지도부 개편론이 불거질 가능성이 높고 한동안 수면 아래로 잠복했던 정동영 통일부 장관과 김근태 보건복지부 장관의 조기 당 복귀론이 다시 부상할 개연성도 다분하다.
반면 선거를 승리로 이끈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는 향후 정국 주도권을 장악하는 동시에 당내 위상과 차기 대선주자로서의 입지를 다질 수 있게 됐다.
◆후폭풍 직면한 여당=여권의 '새판 짜기'가 정국의 핵으로 등장할 가능성이 높다.
당내에서 제기될 것으로 보이는 선거 패배에 대한 책임론은 자연스럽게 지도체제 개편론으로 이어질 수 있다.
문희상 의장은 선거 결과에 상관없이 임기를 채우겠다는 게 확고한 입장이지만 "더 이상 이대로는 안 된다"는 위기감이 당내에 확산될 경우 의장직 사수를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벌써부터 "현 체제로 내년 지방선거를 치를 수 없다"는 얘기가 흘러나오고 있다.
자칫 지도부 개편과 이를 위한 조기 전당대회 개최 등을 둘러싸고 계파 갈등으로 비화할 소지도 다분하다.
지도부 개편 주장은 정동영 김근태 장관의 조기 당 복귀론과도 맞물려 있다.
정 장관과 김 장관은 구체적인 입장을 피력하지 않고 있지만 선거 패배는 이들의 복귀 시기를 앞당기는 변수로 작용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김 장관은 26일 "대통령의 뜻을 존중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내년 지방선거 전망도 비관적인 만큼 노무현 대통령이 단순한 당정 쇄신 차원을 넘어 현 정국을 돌파하기 위해 탈당 후 거국내각 구성이나 임기 단축 등 극단적인 카드를 꺼내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나라당 박근혜 체제 순항=박 대표는 17대 총선에서 이른바 '박풍(朴風)'을 일으키며 당을 기사회생시킨 데 이어 두 차례의 국회의원 재선거에서 완벽에 가까운 승리를 이끌면서 당내 입지를 한층 강화할 수 있게 됐다.
이는 박 대표의 대선 경쟁력 강화로도 연결된다.
최근 경쟁자인 이명박 서울시장이 '청계천 효과'로 뜨면서 상대적으로 박 대표 지지도는 주춤하는 현상을 보였다.
이재창·홍영식 기자 leej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