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정사업본부는 당분간 민영화를 추진할 계획이 없음을 재확인했다. 아직 수익기반이 갖춰지지 않은 상황에서 민영화를 서두를 경우 일시적인 재정 악화 등 부작용이 더 클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대신 택배와 국제특송 등 신규 사업을 지속적으로 혁신해 물류전문 기업으로의 변신을 가속화해 나가겠다는 방침을 강조했다. 황중연 우정사업본부장(50)은 27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3기 본부 출범 200일을 기념하는 기자간담회를 갖고 "민영화는 우정사업본부의 수익 모델에 대한 확신이 선 다음에 논의될 문제"라고 못박았다. 그는 "최근 일본 우정국의 민영화 사례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면서도 "민영화에 따른 재정 부담이 8000억원 정도로 예상되고 체신 노조의 벽을 뚫기가 만만치 않아 현재로선 실행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수익 모델에 관해 황 본부장은 "올해 국내 택배 부문 성장률이 19% 안팎으로 다른 민간업체에 비해 월등하고 국제 특송(우체국 EMS)에선 향후 1년 안에 시장 점유율 1위에 오를 것으로 확신한다"고 설명했다. 우정사업본부의 올해 택배 사업은 매출 2400억원으로 시장 점유율 5위에 머무르고 있으나 이 분야 1위 업체인 현대택배와 시장 점유율 격차가 5%포인트에 불과할 정도로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황 본부장은 "앞으로 민간업체와 선의의 경쟁을 통해 가격 거품을 빼면 결국 혜택은 소비자의 몫으로 돌아가는 것"이라며 "오는 2007년에는 택배 사업과 EMS 사업의 매출을 각각 2800억원,1800억원으로 끌어 올려 물류 선진기업으로 도약할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한편 우체국 쇼핑몰을 통해 중국산 도토리묵 가루가 국산으로 둔갑해 유통된 사실과 관련,황 본부장은 "쇼핑몰 관리와 감독에 문제가 있었던 점을 진심으로 사과한다"고 말했다. 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