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 문희상 의장을 포함한 지도부가 28일 재선거 패배의 책임을 지고 일괄 사퇴했다. 열린우리당은 조만간 임시 지도부인 비상대책위를 구성키로 하고 비대위원장 인선위원장에 정세균 원내대표를 위촉했다. 열린우리당이 이날 의원 중앙위원 연석회의와 이어진 중앙위에서 지도부 사퇴와 비대위 구성을 결정함에 따라 이르면 내년 1월에 새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가 열릴 것으로 예상된다. 전당대회에 맞춰 정동영 통일부 장관과 김근태 보건복지부 장관의 당 복귀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지도부 사퇴와 비대위 구성=5시간 넘는 격론 끝에 지도부의 즉각 사퇴로 결론이 났다. 지난 4.2 전대에서 의장에 선출된 문 의장은 임기를 채우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였지만 결국 선거패배의 후폭풍에 휘말려 7개월 만에 낙마한 것이다. 노무현 대통령이 27일 국정운영 책임론을 제시,문 의장 체제에 힘을 실어주면서 한때 현 체제 유지쪽에 무게가 실렸으나 장영달,유시민 상임중앙위원이 사퇴키로 한 데다 이날 회의에서 사퇴 주장이 주조를 이루면서 분위기가 급반전 됐다. 일부는 막판까지 "사퇴시기는 지도부에 맡기자"며 '선(先)사태 수습,후(後)사퇴'론을 제기했으나 대다수 의원들이 "즉각 지도부가 사퇴하고 비대위를 구성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면서 즉각 사퇴쪽으로 기울었다. 노 대통령의 신임을 토대로 버티던 문 의장은 결국 의원들의 반기에 손을 들었다. 문 의장은 "나름대로 개혁을 추진하고 국민의 삶을 편안하게 하려고 노력했으나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다"고 소회를 피력했다. 조만간 구성될 비대위의 위원장에는 비대위원장을 재수했던 임채정 의원이 유력하게 거론되는 가운데 유인태 김명자 의원 얘기도 나온다. ◆내년 초 전대 개최=비대위 구성은 조기 전당대회를 전제로 한다. 어차피 "이대론 안된다"는 위기감에서 지도부 사퇴가 이뤄진 만큼 정,김 장관의 연초 복귀와 전대 참여가 기정사실화되는 분위기다. 이미 당내에서 내년 5월 지방선거는 이들을 중심으로 치러야 한다는 데 어느 정도 공감대가 형성된 상태다. 다만 이들의 일괄복귀는 노 대통령의 레임덕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들이 시차를 두고 당에 돌아오는 순차복귀론도 제기된다. 이재창 기자 leej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