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혹스러운 정부 공식대응 자제 … 한 · 중 '김치분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는 중국의 이번 조치가 자칫 양국 간 무역 갈등으로 확대되지는 않을까 곤혹스런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번 조치가 국내에서 발생한 중국산 기생충 김치 파동에 따른 '경고성'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지만 마땅한 근거가 없는 상황에서 이를 문제삼을 경우 자칫 사태를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1일 외교통상부를 비롯 식품의약품안전청 농림부 등 관계부처 간부들은 이날 긴급 대책회의를 열었지만 뾰족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지는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통상부는 공식 논평을 삼간 채 중국 정부의 이번 조치가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사실에 근거한 것이라면 자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한 합당한 처분으로 시비를 걸기 어렵다는 원칙적인 반응을 보였다.
외교부 당국자는 "보복성 조치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중국측과 긴밀한 협의가 필요하다"며 말끝을 흐렸다.
일부에서는 이번 사태의 발단을 우리 정부의 외교적 미숙함 탓인 것으로 지적하고 있다.
최근 장어에 이어 쌀과 김치 등 중국산 수입 식품에서 유해 물질 등이 잇따라 발견되고 우리 정부가 이를 발표하는 과정에서 중국측에 충분한 사전 해명을 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중국도 발표 하루 전 주중 한국대사관을 통해 수입중단 조치를 알리는 등 다분히 감정적인 대응을 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통상 전문가들은 "우리 정부가 중국측의 조사 결과를 사전에 서면으로 통보받지 못한 것 자체가 이를 반증하는 것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한마디로 교역 규모에 비해 양국 간 외교 공조가 너무 허술하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의 이번 조치로 관련 제품의 국내 판매는 물론 일본과 미국 등 다른 지역으로의 수출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며 정부의 신속한 대응을 주문했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