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 신천지 중국을 잡아라] (下) 물류정보 DB化등 정부가 도우미돼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인허가 절차의 간소화,운반용 장비의 규격 표준화 등은 기업 혼자서는 해결하기 힘든 문제입니다.
물류 표준을 만들고 물류 관련 정보를 취합해 제공하는 등 정부가 '물류기업 도우미' 역할을 맡아 줘야 '신(新)동북아물류중심' 계획이 현실이 됩니다."
중국 베이징에서 지난달 27일 열린 한중물류포럼에 참가한 물류기업 관계자와 전문가들은 한국이 물류 강국이 되려면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후카가와 유키코 도쿄대학대학원 종합문화연구과 교수는 "한국의 경우 물류업은 제조업과 운송업이 결합했다는 특수성이 있는 데도 제조 분야와 운송 분야를 관할하는 정부 부처가 달라 기업들이 다양한 정부기관에서 허가와 인증을 받아야 했다"며 "정부가 물류 관련 창구를 단일화하는 등 갖고 있는 권한을 대폭 민간에 맡겨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준수 서강대 경영대학장은 "국내 물류기업이 중국 등 해외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정부가 물류 분야 전문가를 양성하고 국가별 표준화를 위한 노력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특히 중국 진출 물류기업을 위해서는 정부가 파견단을 구성해 중국의 지역별 업태별 물류시장 특징을 조사하고 자료를 업계와 공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정환 해양수산개발원장은 "정부가 중국과 일본 정부와의 동의를 얻어 동북아 물류시장에서 발생하는 물류 관련 정보를 모아 데이터베이스화할 필요가 있다"며 "정보 교류가 원활해진 뒤 3개 국이 공동으로 투자하는 물류시설 건립 등을 추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