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측과 임금단체협상에 난항을 겪고 있는 금융산업노조 한미은행 지부(옛 한미노조)가 2일 하루 경고성 총파업을 실시했다. 하지만 은행측과 금융감독원의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으로 예전과 같은 큰 혼란이나 고객 불편은 찾아보기 힘들었다. 이에 따라 은행 파업이라는 극단적인 방식의 효과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씨티은행측은 전체 영업점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86개 거점점포를 운영하는 등 꼼꼼하게 파업에 대비했고,금융감독원도 신속하게 지원에 나섰다. 은행측은 파업으로 발생할 수 있는 불상사를 △전산운영 △본점 및 지점 운영 △인력동원 등 3개 분야로 나눠 비상계획 마련에 들어갔다. 배학 부행장은 "파업 당일 전 지점장들이 오전 7시30분 이전에 출근을 완료하는 등 대비가 잘 돼 큰 혼란은 없었다"며 "전국적으로 2300여개의 점포망을 갖고 있는 우체국과 업무 제휴를 맺어 놓은 것도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자동화기기(CD/ATM)도 정상 가동됐다. 금감원도 파업에 돌입한 씨티은행 소비자금융거점 점포 32곳에 1개 점포당 2명씩,검사역 68명을 긴급 투입했다. 씨티은행에 파견된 금감원 검사역들은 근무 인력이 현격하게 줄어든 상황에서 현금 교환 등 금융거래가 원활히 이뤄지고 있는지를 모니터링하며 고객 불편을 최소화하는 데 집중했다. 송종현 기자 scre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