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한 자리를 맡게 돼 개인적으로 무척 영광이지만 어깨가 무겁습니다. 은퇴하기 전 봉사하기 좋은 기회라고 생각해 중책을 맡았습니다. 보다 많은 기업이 메세나활동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동참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지난 5월 타계한 고(故) 박성용 회장의 뒤를 이어 한국메세나협의회 제6대 회장을 맡게 된 박영주 이건산업 회장(64)은 3일 "아직은 취약한 메세나협의회가 빠른 시일 내에 재정적으로나 조직적으로도 독립된 단체로 일어설 수 있도록 힘을 쏟겠다"고 취임 소감을 밝혔다.


"아직도 '메세나'라고 하면 돈 있는 일부 대기업들만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건 '마인드'입니다. 자신의 처지에 맞게 돈이 없으면 없는 대로 작은 것부터 바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사내 직원들을 위한 음악회나 사무실 복도에서 펼치는 회화전 등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지요."


박 회장은 메세나에 대한 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더불어 문화예술단체의 노력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메세나는 문화예술단체에 대한 기업의 일방적인 짝사랑이 아닙니다.


기업경영에 문화예술을 접목하거나 기업이 주최하는 행사에 문화예술단체가 콘텐츠를 제공하는 등 기업과 문화예술단체가 서로 '윈윈'할 수 있는 방안들을 생각해 나가야지요."


박 회장은 궁극적으론 기업들의 문화지원 활동의 최대 수혜자는 바로 기업 자신이라고 강조했다.


"제가 90년부터 지금까지 16년간 이건음악회를 열어오고 있는데 초반엔 사실 꾸려가기가 쉽지 않았어요. 그래도 어떻게든 한 10년만 버텨보자고 마음먹었지요. 언젠가 음악회를 보고 나오는 현장직원들의 표정을 본 적이 있는데 그렇게 밝아 보일 수가 없었습니다. 그때 '아 이거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문화 CEO'로 알려져 있는 박 회장은 어릴 때부터 피아노와 가야금,그림 등을 익히며 문화적인 환경에서 자랐다.


피아노는 '체르니'까지 마쳤고 가야금과 그림은 '즐기는 정도'라고.


박 회장은 현재 솔로몬 아일랜드군도 명예대사,예술의전당 후원회 부회장,국립현대미술관회 부회장,영국 테이트미술관 이사,미국 시카고 예술학교 이사 등을 맡고 있다.


김재창 기자 char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