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3일 '원전센터 관계 장관회의'를 열고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처분장 예정부지를 올해 안에 지정 고시하고,내년부터 건설운영 허가신청 등을 거쳐 이르면 2007년부터 건설에 본격 나서기로 했다. 경주시가 방폐장 부지로 확정됨에 따라 정부가 후속 작업에 나선 것이다. 이처럼 방폐장 부지 결정은 19년동안 표류해온 국책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하는 계기가 됐다는 점에서 여간 다행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문제는 이번 부지결정이 국가의 최우선 과제라 할 수 있는 방폐장 건설에 물꼬를 터준 것일 뿐이라는 점이다. 한마디로 방폐장 사업은 이제 시작하는 단계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게다가 이번 유치신청에서 탈락한 지역에 대한 민심을 수습하고,시민·환경단체의 반발 움직임을 무마시키는 등 당장 해결해야 할 과제 또한 수 없이 많다. 그런 점에서 이날 회의에서 이희범 산자부 장관이 "법에 따라 진행된 투표에 대해 법적 대응을 하는 것은 민주주의의 근간을 해치는 것"이라고 강조하고 "이번에 탈락한 지역의 민심수습을 위해 국가균형발전 정책의 틀안에서 대책을 논의하겠다"고 밝힌 것은 의미가 있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방폐장 건설사업이 당초 일정에 따라 2008년에 가서 차질없이 완료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선 정부 당국과 경주시 등은 사업추진 과정에서 낭비 요소를 없애야 하는 것은 물론 환경단체 등의 반발에 대비,방폐장을 안전하고 환경친화적인 시설로 만들지 않으면 안된다. 보다 철저한 환경영향평가 등을 거치는 것이 바로 환경 문제로 인한 사업의 부실화를 막을 수 있는 첩경이라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안목에서 원전의 안전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준위 폐기물 처분장을 앞당겨 건설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할 필요가 있다. 정부 당국과 경주시 등은 방폐장 건설사업이 유종의 미를 거둘 수 있도록 힘을 합치고 지혜를 모으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방폐장 건설이 또다시 과거와 같은 대립과 갈등 요인들로 인해 차질을 빚어서는 결코 안된다는 점을 깊이 새겨야 한다. 정부 등은 이제부터 시작이라는 각오로 다각적인 후속 대책 마련에 발벗고 나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