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윤철(田允喆) 감사원장은 "역사적 임무를 마친 공기업은 사라져야 한다"고 말했다. 전 원장은 3일 오후 감사원장 취임 2주년 기자간담회에서 "공공부문은 아직도 정신을 못차리고 있다"고 강도 높게 비판하면서 "역사적 기능과 임무를 마친 공기업은 타율(퇴출)보다 자율적으로 (혁신) 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언급은 감사원의 감사 결과에 따라 공기업의 퇴출사태가 발생할 수 있음을 예고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전 원장은 "민간부문에서는 경쟁과 혈투를 벌이고 있는데 공공부문은 소위 `엔터프리너십'(경영마인드)이 부족하다"며 "불필요한 분야의 자회사를 설치하고 민간분야에서 이미 참여하고 있는 곳에 참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이런 방식으로 하면 (공기업은) 100전 100패라고 본다"며 "방만하게 경영하며 노조와 적당히 협조하면서 기업을 이끌려는 공기업들은 감사원 차원에서 용서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나 현재 벌이고 있는 감사 결과로 퇴출할 수 있는 공기업 규모에 대해서는 "1960∼1970년대의 개발연대에 필요한 요건들과 지금 요건들을 비교해보면 추측이 가능할 것"이라고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다. 그는 또한 남북협력기금 운용에 대한 감사여부에 대해 "남북협력기금이 투명하게 운영돼야 하지만 남북문제라는 특수성 있다"며 "북한과 관련된 문제는 확인할 수 없는 현실적인 문제가 있어 감사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오정희(吳正熺) 감사원 사무총장은 "현대가 북한에서 어느만큼 기금을 썼느냐는 감사원이 확인하기가 불가능하다"며 "어떻게보면 개인 CEO(최고경영자)가 저지른 비리성격이기 때문에 감사하기가 어렵다"고 보충 설명했다. 전 원장은 경제상황과 관련, "주가나 수출 등 지표상 경제가 나쁘지 않고 비관적으로 볼필요는 없다"면서 "경기회복 위해서는 서비스산업에 대해서 구체적 행동 프로그램을 각 부처가 내놔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전 원장은 "우리가 나아갈 길은 BT(바이오기술) 등 과학기술이 발전해야 한다"며 " 황우석 박사로 인해 줄기세포에 있어 허브국가가 된 것처럼 다른 분야에도 허브국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동안 주력해온 시스템 감사(제도감사)에 대해 "일부 반발도 있지만 대체로 동감하고 있다"며 "시스템 감사 기조를 확실히 다지고 대안을 갖고 관련 부처와 협의해 결론을 내리겠다"고 밝혔다. 그는 "지금까지 해온 시스템 감사가 제대로 이행되는 지도 모니터링 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대학 구조조정, 건강보험 문제 등 감사할 사항은 부지기수"라고 덧붙였다. 전 원장은 공정거래위원장, 기획예산처 장관, 대통령비서실장,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 등을 거쳐 2003년11월11일 제 19대 감사원장에 취임해 다음주로 취임 2주년을 맞는다. hs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