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파동'을 계기로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식품안전관리를 전담하도록 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4일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여러 부처에 흩어져 있는 식품 관련 업무를 식약청으로 통합해 식품안전을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쪽으로 부처 간 의견을 모았다"고 말했다. 특히 이해찬 국무총리가 이날 총리실 간부회의에서 "소비자 관점에서 식품안전 체계를 갖추기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라"고 지시함에 따라 정부의 식품 관련 업무 통합이 빨라질 전망이다. 이를 위해 정부와 열린우리당도 이르면 연말까지 정부조직법을 개정하는 방안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식품 위생 문제가 불거질 때마다 8개 부처에 쪼개져 있는 식품행정업무를 식약청으로 일원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현재 수입식품 검역 등 식품안전과 관련한 업무는 보건복지부 농림부 해양수산부 식약청 등 8개 부처가 230여개 관련 법령으로 따로 관리하고 있다. △복지부는 농산물 및 농수산 가공품 수입,농수산물 유통을 맡고 있으며 △해수부는 수산물 생산·수입 △농림부는 축산물 및 축산가공품 생산·수입·제조·유통 △교육부는 학교 급식 등으로 식품관리 업무가 분산돼 있다. 이들 부처에 소속되지 않은 나머지 가공식품을 복지부 산하 식약청에서 관리하는 식이다. 이러다 보니 부처 간 사전 조율과 협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식품안전에 신속히 대처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제기돼 왔다. 김혜수 기자 dears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