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통위, 콜금리 왜 동결했나 .. "경기 지켜보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은행이 시장의 예상대로 콜금리 목표치를 현 수준(연 3.50%)에서 동결했다.
경기 회복세가 유지되고는 있지만 설비투자 부진,고유가 등 각종 위험 요인이 상존하는 만큼 일단 관망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셈이다.
시장의 관심은 추가 인상 시기다.
박승 한은 총재는 "시장에 충격을 주지 않는 '신중한 속도'로 인상하겠다"고 말했다.
채권시장 관계자들은 박 총재의 이 같은 발언을 적어도 연내 추가 인상은 없다는 뜻으로 해석하고 있다.
◆경기회복 일단 지켜보자
박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내년에는 5% 성장이 가능할 것이며 물가 상승률은 당초 예상했던 3%보다 다소 높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달 콜금리를 인상하면서 내세웠던 경기 회복과 물가상승 압력 고조라는 배경이 이달 들어서도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는 점을 재확인한 셈이다.
그런 데도 한은이 이날 콜금리를 동결한 것은 두 달 연속 콜금리를 올리는 데 대한 부담감과 설비 투자 및 건설 경기가 최근 두 달간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에 따른 우려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9월 설비 투자는 작년 같은 달에 비해 2.0% 줄어 두 달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건설 경기를 가늠할 수 있는 건설기성액도 9월 들어 전년 동월비 3.8% 증가에 그쳐 8월(5.0%)보다 증가세가 둔화됐다.
지표 경기가 회복됐다고 하지만 국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체감 경기는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점도 콜금리 동결의 배경으로 작용했다.
박 총재는 "내년에 5% 성장을 하더라도 체감 경기는 그 정도 수준으로 나아지기 힘들 것"이라며 "체감 경기가 회복되려면 적어도 5년 정도는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양극화 현상의 해소가 그만큼 어렵다는 얘기다.
◆연내 추가 인상 없을듯
향후 콜금리 정책 운용 방향과 관련,박 총재는 "최소한 내년까지는 저금리 기조를 유지하되 경기 회복세를 감안해 중립 수준 근처까지는 금리를 올려놓겠다"며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향후 추가 인상 시기와 관련해서는 "11월 말께 나오는 한은의 내년도 경제전망 결과를 보고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경기전망 결과에 따라 다음 달에 올릴 수도,동결할 수도 있다는 모호한 표현이다.
채권시장 관계자들은 그러나 "금리 인상 기조를 신중한 속도로 구현하겠다"는 박 총재의 발언에 더 주목하고 있다.
이는 "향후 추가 인상 시기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검토하겠다"던 지난달 입장에서 한 발 물러선 것이라는 평가다.
신동준 삼성투신 수석연구원도 "'신중한 속도의 금리 인상'이란 표현은 최근 시장금리 급등을 진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추가 인상은 내년 2,3월께가 될 것이란 게 시장 분위기"라고 전했다.
김동윤 기자 oasis9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