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11일자) 증권산업 새판짜기 서둘러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가 이르면 내년 하반기부터 증권 선물 자산운용 신탁업 등을 한꺼번에 취급하는 금융투자회사 설립을 허용하고 금융상품에 대한 제한도 과감히 풀겠다고 밝혔다.
금융업에 대한 규제 완화를 통해 증권업계의 경쟁력을 국제적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취지다.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자본시장 통합법이 제정되면 금융업계에 엄청난 지각변동이 초래될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현재 엄격히 분리돼 있는 각 금융업의 겸영(兼營)을 허용하고 다양한 파생상품까지 개발할 수 있게 되면 사업영역이 획기적으로 넓어지는데다 수익원(收益源) 다변화까지 꾀할 수 있게 되는 까닭이다.
따라서 업계는 한층 치열한 시장선점 경쟁을 펼칠 수밖에 없고 이 과정에서 자연스레 적자(適者)가 가려질 것으로 기대된다.
사실 증권업계의 구조개편은 보통 시급한 과제가 아니다. 수십개 업체들이 난립해 제살깎아먹기식 출혈경쟁을 일삼고 있는데다 위탁수수료에만 의존하는 천수답식 경영구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기업인수합병(M&A) 등 주요 투자은행(IB) 관련 업무를 외국계가 독점하다시피 하는 것도 바로 그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세계 유수 기업들과 어깨를 겨룰 한국판 골드만삭스를 육성하는 것이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다.
국내업계와 외국계는 IB업무와 관련된 전문인력의 규모나 수준,노하우 등에서 비교조차 힘들 현격한 격차가 있기 때문이다.
자산규모만 해도 국내 증권사들은 외국 대형업체의 1% 수준에도 미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경쟁력을 국제적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선 업계 스스로 철저한 구조조정과 함께 인수·합병 등을 통한 대형화에 적극 나서지 않으면 안된다.
앞으로의 업계 판도가 전문인력과 자본력에서 우위를 확보하는 대형업체 몇 곳이 주도하는 형태로 압축될 것이 불을 보듯 뻔한 까닭이다.
아울러 대형화가 어렵고 합병도 쉽지 않은 중소업체들의 경우는 인수업무나 중개업무 등 특정분야를 집중적으로 육성하는 전문화 전략이 바람직할 것이다.
금융당국 역시 각종 규제를 더욱 과감히 풀어주는 등 업계의 구조개편을 지원할 수 있는 보완대책을 적극 강구해야 할 것이다.
급격히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파생금융상품에 대한 설명이나 공시 의무를 대폭 강화하는 등 투자자 보호에도 만전을 기해야 함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