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APEC 숨은 일꾼들] 심영섭 팀장, 눈썰미로 통역ㆍ의전 1인多역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심영섭 < 기획단 인력운영 팀장 >
"통역은 기본이죠.여차하면 공항영접에서부터 의전수행과 행사진행까지 닥치는대로 해치웁니다."
이번 APEC에서 행사진행 인력의 운영을 담당하는 심영섭 APEC교육재단 협력팀장은 25세라는 나이가 믿기지 않을 정도로 경력이 화려하다.
2002년 한·일 월드컵 통역요원으로 시작,외교부 인턴을 거쳐 2003년 노무현 대통령 취임식에서 호텔의전과 만찬 통역을 맡았다.
APEC과는 2002년부터 인연을 맺었다.
당시 정보통신부 장관회의에서 방글라데시 장관의 '리에종(연락관)'을 맡았고 올해 열린 3차례 고위관리회의(SOM)에서도 회의운영을 담당했다.
지금까지 100여차례 국제행사를 경험한 베테랑이다.
심씨는 여차하면 '대타'를 뛰어야 한다.
예정에 없던 돌발상황은 항상 생기게 마련이다.
대표단 입국이 일시에 몰리거나 일정이 변경되면 통역,공항영접,대표단 수행까지 도맡아야 한다.
심씨는 "APEC과 같은 큰 행사에서는 진행요원이 드러나서는 안된다"며 "있는듯 없는듯 해야 하지만 결코 없어서는 안될 존재"라고 말했다.
이번 APEC에 동원되는 운영요원은 모두 130여명.모두 자원봉사자들이다.
"등록,인포데스크,회의장 운영,각국 연락관까지 모두 제 담당입니다. 채용에서부터 업무 배정,교육까지 맡아야 했죠."
심씨는 국제회의 전문가가 갖춰야 할 기본 자질로는 눈썰미와 판단력을 꼽았다.
체형이나 미모보다는 인상과 태도,매너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APEC 교육재단이 세번째 직장이지만 심씨는 아직 학생이다.
고려대 국제대학원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
전경련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협력팀에서 일했다.
심씨는 "APEC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것 자체가 행운이라고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한국을 해외에 알리는 일을 계속하고 싶다"고 말했다.
부산=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