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은 금융산업구조개선법(금산법) 개정논란과 관련, 삼성카드와 삼성생명 모두 `5%룰'을 초과해 보유중인 계열사 지분을 일정기간 내에 해소하도록 하는 방안을 유력히 검토 중인 것으로 20일 알려졌다. 우리당은 그러나 구체적인 해소방식과 시기는 삼성이 스스로 정하도록 할 방침이다. 우리당은 21일 문석호(文錫鎬) 제3정조위원장 주재로 국회 재정경제위와 정무위원회 소속 의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정책소의총을 열어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해 금산법 개정안에 대한 당의 최종 입장을 정리할 예정이다. 우리당은 그동안 지분취득 시점에 따라 삼성카드의 5%룰 초과지분은 강제매각 처분하고 삼성생명의 5%룰 초과지분은 의결권만 제한하는 청와대의 분리대응 안을 유력히 검토해왔다. 이 같은 입장 선회는 금산법 개정을 놓고 `재벌 봐주기'라는 세간의 의혹을 불식시키고 `개혁 정체성'을 공고히 해나가겠다는 의지를 담은 것으로 풀이돼 주목된다. 당 핵심관계자는 "두 회사 지분을 모두 해소하는 방안과 청와대의 분리대응안을 병행 검토 중이지만 원칙론을 주장하는 당내의견이 많아 두 회사 지분을 모두 해소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을 것"이라며 "다만 삼성이 스스로 기준을 적합하도록 해소방식과 시기를 정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당이 유력히 검토중인 안은 박영선(朴映宣) 의원의 안과 유사한 형태로 삼성카드가 보유중인 에버랜드 지분 25.64%, 삼성생명이 보유중인 삼성전자 지분 7.2% 가운데 5%룰을 초과한 계열사 지분을 3∼5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해소하도록 하는 방안을 의미한다. 해소방식은 삼성 스스로 강제매각 또는 증자 등 다양한 방법을 택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는게 우리당의 입장이다. 이와 관련, 재야파 모임인 민주평화국민연대(민평연)는 20일 오전 기자회견을 갖고 박영선 의원의 안을 지지할 예정이었다가 이를 막판 취소했다. 당 관계자는 "당내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에서 박영선 의원안에 동감하고 동의하는 분위기가 많았다"며 "이에 따라 민평연측과 협의해 별도로 기자회견을 하지 않고 내일 정책소의총을 통해 의견을 개진하고 논의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우리당은 21일 정책소의총 결과를 토대로 24일 정책의총을 열어 당론을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그러나 당내 일각에서는 삼성이라는 특정기업에 과도한 부담을 지우는데다 소급입법 등 위헌논란이 제기된다는 이유를 들어 반대의견을 보이고 있어 당론화 과정에서 적지 않은 진통이 예상된다. (서울=연합뉴스) 노효동 기자 rhd@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