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석 교수팀의 배아줄기세포 연구가 보상금을 주고 기증받은 난자를 이용해 이뤄졌다는 사실이 밝혀짐으로써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그동안 우려했던 일이 현실로 드러났다는 점에서 충격적일 뿐만 아니라 이번 일로 황 교수가 이룩한 획기적인 연구업적이 크게 훼손되고 국제적인 논란으로 비화(飛火)될 가능성마저 커졌다는 점에서 정말 안타까운 일이다. 이번에 문제된 난자매매는 금전보상을 통한 난자채취를 금지한 생명윤리법이 올해 초 발효되기 훨씬 이전의 일로,당시에는 제대로 된 윤리규정도 없었던 점에서 황 교수측에 법적 문제는 없다. 더구나 생체조직 제공자에게 일정한 수준의 보상을 하는 것이 외국에서도 일반적인 관행이라는 난자제공 병원 이사장의 설명이고 보면 억울하기 짝이 없는 측면도 있다. 그렇더라도 국제 과학계가 엄격한 잣대를 적용하고 있는 생명윤리의 도덕성 시비(是非)까지 피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게다가 줄기세포 연구에는 국가 간의 엄청난 이해관계가 걸려있어 이 분야에서 앞서가는 우리나라를 견제하려는 움직임도 있는 실정이고 보면 황 교수의 연구에 대한 국제적인 압박이 더욱 심해질 게 틀림없다. 중요한 것은 이번 일로 황 교수가 이룩해낸 학문적 성과의 가치까지 평가절하되지 않아야 하는 것은 물론,만에 하나 줄기세포 연구가 중단된다거나 위축되어서는 결코 안된다는 점이다. 요즘 생명공학 연구만큼 각국의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분야도 없다. 우리나라는 황 교수의 연구성과에 힘입어 줄기세포 연구에서 세계 중심지로 떠오른 만큼,그 우위를 확실히 살려나가야 하는 것은 국가적 과제이기도 하다. 그런 점에서 지난 21일 민간 차원의 '연구.치료목적 난자기증을 지원하기 위한 모임'이 발족(發足)된 것은 주목할 만하다. 황 교수의 연구가 윤리적 문제를 극복하고 성공적으로 진행되기를 바라는 국민들의 기대가 그만큼 크다는 얘기다. 따라서 이번 사태를 교훈삼아 차제에 줄기세포를 둘러싼 윤리논란의 문제가 말끔하게 정리되지 않으면 안된다. 그동안의 모든 의혹에 대한 솔직한 설명이 이뤄져야 하고,앞으로 생명윤리의 국제기준에 한치도 어긋나지 않게 연구체제를 정비함으로써 또다시 이런 논란이 재발되지 않도록 확실한 장치를 강구할 필요가 있다. 정부도 이 문제에 대한 보다 깊은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