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복합도시 추진단이 추산한 행정복합도시 조성 총 비용은 약 43조9000억원(2005~2030년).그러나 행정복합도시 특별법을 통해 공공건물 건축과 광역 교통시설 건설을 위해 국가 예산에서 지출할 수 있는 금액의 상한선을 8조5000억원으로 명시한 만큼 나머지 35조4000억원은 민간이 부담하게 된다. 도시 조성에 필수적인 주거시설,상가시설 등 대부분이 포함된다. 그러나 이는 지난 5월을 기준으로 한 것이어서 그간 오른 땅값 등을 감안할 때 토지매입 보상 등에 추가 비용 투입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행정복합도시 건설지원을 위한 예산으로 향후 5년간 1조1448억원을 책정한 상태다. 행정복합도시 건설 지원 예산은 이르면 연내 행정도시 예정지역에 대한 토지매입이 시작되는 점을 감안,2005년 75억원으로 시작해 2006년에는 353억원으로 확대된다. 또 행정도시 건설작업을 본격적으로 착수하는 2007년부터는 예산이 1382억원 규모로 대폭 늘어나고 2008년 2323억원,2009년 7315억원으로 증액될 전망이다. 2010~2012년에는 2조5000억원,2013~2017년에는 2조3000억원이 투입된다. 49개 중앙행정기관과 소속기관이 들어설 청사를 짓는 데 비용이 얼마나 들어갈지도 관심거리다. 행정자치부가 지난 10월5일 고시한 '중앙행정기관 이전계획'에 따르면 정부조직법 등을 기준으로 분류한 245개 단위행정기관 중 연기·공주지구로 이전하는 기관은 재경부 등 12부 4처 2청과 소속기관 등 모두 49개 기관이다. 여기에 공공기관 지방이전계획에 따라 국토연구원 등 17개 정부출연 연구기관도 행정도시로 옮겨간다. 정부는 청사가 완공되는 오는 2012년부터 부처 및 소속기관 이전을 시작해 2014년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정부는 현재 49개 중앙행정기관 및 소속기관이 입주할 청사건축비로 1조2000억원,부지 매입비로 4000억원 등 모두 1조6000억원 안팎(2003년도 불변가격 기준)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는 행정도시 이전에 투입될 정부재정(8조5000억원)의 19% 수준으로 일부 비용은 기존 청사를 매각해 충당한다는 게 정부의 복안이다. 우선 정부는 49개 기관이 입주할 건물 연면적을 18만평 안팎으로 보고 있다. 이는 지난 3월 말 기준으로 행정도시 이전대상 기관에 근무하는 공무원이 1만374명인 데다 1인당 사용면적(17.1평)과 공동이용 시설 등을 감안해 계산한 수치다. 1인당 사용면적은 사무관련시설 6평,공용시설 5.4평,기타시설 3.7평,지하주차장 2평 등이다. 강황식.김혜수 기자 his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