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31 부동산종합대책'이 발표 이후 두 달간 안정세를 보이던 집값이 강남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다시 상승세를 나타내면서 8·31대책 이전 수준을 회복하는 등 집값 불안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집값 불안의 진원지는 서울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다. 여기에는 서울시의 재건축 규제 완화 움직임이 원인이 됐다.


이에 정부가 강남 재건축 규제 완화는 없다는 입장을 거듭 밝히자 강남권 재건축 대상 아파트의 매수 문의와 거래가 확 줄어들었다.




층고 제한 완화 또는 용적률 상향 조정을 기다리던 기대감이 실망감으로 바뀌면서 시장이 매수자 우위로 바뀌는 분위기다.


이달중 서울시의 규제 완화가 실현되지 않고 8·31대책의 입법화가 완료될 경우 가격이 본격적으로 재조정받을 수 있을 것으로 일선 중개업소들은 보고 있다.



◆층고 제한 완화 단지 좌불안석


지구단위계획 수립을 통해 층고 제한 완화를 추진했던 강동구 고덕지구에선 주도권이 매도자에서 매수자로 넘어가는 분위기다.


고덕1단지 정비계획안이 조건부로 통과된 지난주만 해도 매도자들이 호가를 올리면서 매도 시기를 늦췄으나 이번 주 들어선 매수자를 구하기가 어렵다.


로암공인 관계자는 "정부가 재건축아파트를 특별관리하겠다고 나오자 매수 대기자들이 일제히 보류로 돌아서면서 거래가 끊겼다"고 말했다.


단지별 지구단위계획 수립안을 서울시에 올린 강남구 개포지구에서도 상황이 비슷하다.


개포동 행운공인 관계자는 "정부의 재건축 아파트값 안정 의지가 언론을 통해 전달되기 시작한 지난 월요일부터 매수 문의가 줄고 거래가 주춤해졌다"고 전했다.



◆종 상향 추진단지 비상


일반주거지역 종 상향 조정(2종→3종)을 통해 용적률을 기존 200% 수준에서 249% 선으로 올리려던 단지들에도 찬바람이 일 조짐이다.


송파구 가락시영아파트의 경우 서울시 도시건축공동위원회가 12월 초 용적률 상향 조정안을 담은 정비계획안을 심의할 예정이다.


인근 신한공인 장찬수 사장은 "주택지역 종 구분 상향에 대한 기대로 팔 사람이 매물을 회수하면서 가격이 급반등했던 지난주와는 달리 이번 주엔 종 상향이 어려울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오면서 매수세가 자취를 감췄다"고 현장 분위기를 전했다.


지난 10월7일 종 상향 조정을 위한 정비계획안을 강동구청에 제출했던 둔촌주공도 상황이 비슷하다.


김효원 으뜸공인 사장은 "정비계획안이 수용될지 불투명하고 단기간에 너무 오른 까닭에 거래가 잘 이뤄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조성근 기자 trut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