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마니아 장세..배당매력 약화-스티브 마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일 도이치뱅크 스티브 마빈 전략가는 모든 주식을 하늘로 쏘아 올리는 유동성 랠리가 진행중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나 주가 상승에 따라 배당수익률 매력은 약해지고 채권금리는 올라가는 상황이 연출되고 있어 고배당 바스켓에서 채권으로 자금이 이동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마빈은 "지난달 연준 의사록 공개이후 발표한 투자전략처럼 미국의 유동성과 한국 내부적인 펀드유입이 모든 주식을 들어올리는 마니아(mania) 장세를 부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같은 유동성 랠리는 상향 모멘텀이 강력하게 버티는 한 계속해서 펀드로 자금을 유인하는 특징을 갖고 있으며 주가 정점을 잡아내기도 쉽지 않다고 설명.
마빈은 "다만 주목할 점은 채권금리와 배당수익률간 격차가 뒤바뀌기 시작했다는 점이다"고 지적했다.
대형 고배당주식의 작년말 수익률 추정치는 5.1%이고 중형 고배당주는 5.7% 그리고 국고채 3년물은 3.3%였으나 최근 들어 역전.
대형과 중형 고배당 바스켓의 배당수익률 예상치는 각각 3.9%와 3.4%로 내려간(주가 상승탓) 반면 우량등급 회사채금리는 5.6%를 그리고 국고 3년물은 5.2%까지 치고 올라왔다.
마빈은 "따라서 이성적 투자자라면 주식에서 채권으로 아니 최소한 고배당주식에서 채권으로 이동해야 하며 그 촉매는 배당락이 던져줄 수 있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강력한 유동성 랠리는 모든 주식을 상승 시켜 배당펀드는 방어적 특성으로 다시 관심을 불러 모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반대로 부정적 사이클에 걸려든 채권시장은 금리 상승에 따른 투자손실 이어 투자손실에 따른 채권 매도 그리고 다시 금리상승으로 옮겨갈 수 있다고 관측.
마빈은 "주식과 채권시장의 각 모멘텀 영향으로 일정기간 자금 이동이 지연될 수 있으나 언제가는 채권의 매력을 느끼기 시작할 것"으로 분석했다.그 경우 주식시장 전체적인 측면까지는 아니나 최소한 상대적 매력이 떨어진 고배당주에서 채권으로 자금이 이동할 수 있다고 예상.
한경닷컴 박병우기자 parkb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