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집계한 3.4분기 실질 국민총소득(GNI)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겨우 0.1% 늘어나는데 그쳤다고 한다. 1.4분기 0.5%, 2.4분기 0.0%로 외환위기 이후 최악의 증가율을 나타낸 데 이어 3분기 연속 0%대에 머물러 있는 것이다. 국내총생산(GDP)은 4.5%가 늘어나는 등 경제규모는 커지는데도 소득이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실정이고 보면 우리 경제가 얼마나 취약한지 설명해주고 있다. 이처럼 소득증가율이 저조한 것은 물론 원유 도입단가가 급등해 무역손실 규모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등 교역조건이 급격히 악화되고 있는 데 따른 요인이 가장 크다. 교역조건 악화로 인한 실질무역손실은 1.4분기와 2.4분기에 각각 10조원을 기록한 데 이어 3.4분기에는 12조4000억원으로 늘어난 데서도 이를 알 수 있다. 문제는 이 같은 소득 정체(停滯)가 구매력 저하로 이어져 내수 부진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이다. 국민들의 실질소득이 늘어나야 소비도 살아날텐데 성장의 과실(果實)이 해외로 새면서 내수회복에 걸림돌이 되고 체감경기 회복을 어렵게 하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GDP 증가율 4.5%와 소득증가율 0.1%라는 수치로 대비되는 지표경기와 체감경기의 괴리(乖離)를 해소하는 문제다. 낮은 소득을 우리 스스로 관리할 수 없는 고유가 등 대외변수 탓으로 돌릴 일이 아니다. 근본적으로 경제성장률을 높여 국민들이 나눠 가질 수 있는 나라 전체의 소득 규모를 키워나가는 것 말고는 달리 방법이 없다. 거듭 강조해 왔지만 결국 기업의욕을 되살리고 투자를 늘리도록 해 일자리를 창출함으로써 성장률과 함께 소득을 끌어올리는 데 모든 정책역량을 모아야 한다는 얘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