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자동차 관련 대기업 중간 간부로 재직 중인 김모씨(42)는 요즘 주말마다 고향인 광주광역시를 찾는다.

연말을 맞아 열리는 초·중·고교 및 대학 동창회에 참석하고 각종 지역 모임마다 '얼굴'을 내비치다 보면 이틀이 정신 없이 지나간다.

대학 다닐 때부터 정치에 관심이 많았던 그는 지방의원 유급제가 실시된다는 소식에 출마를 결심했다.

경북지역 K대의 이모 교수(45)는 친구인 한나라당 의원을 자주 만나 광역의원 출마에 필요한 노하우를 배우고 있다.

이 교수는 "한나라당 공천만 받으면 '필승'이라고 본다"며 "한나라당 공천 경쟁률이 10 대 1에 육박할 것 같다"고 말했다.

지방의원 유급제가 처음 도입되는 제4회 지방선거 출마를 노리고 지역 유지는 물론 전문직 종사자,운동권 출신들이 물밑에서 뛰고 있다.

2일 정치권과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내년 5월31일 실시되는 지방선거가 180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출마 희망자들의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개정된 선거법에 따라 앞으로 기초의원은 5000만∼6000만원,광역의원은 6000만∼7000만원의 연봉이 보장된다.

현재 기초의원은 연간 1800여만원,광역의원은 연간 2700여만원가량을 의정활동비와 회의 수당 등으로 받고 있다.

실비만 지급되는 명예직이던 지방의원이 웬만한 대기업 직장인보다 많은 세비를 받을 수 있는 유급직으로 바뀌면서 교수를 비롯해 은행 지점장,대기업 간부 등 전문직 종사자들의 출마 준비가 두드러지고 있다. 이에 따라 재력가나 자영업자 등 지역 유지들이 주류를 이뤘던 지방의회가 차기 의회부터는 전문직 중심으로 재편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주력 세대도 50∼60대에서 30∼40대의 젊고 역량 있는 정치 신인들로 바뀔 전망이다.

정치권에서는 의원 배지를 염두에 둔 채 은밀하게 선거운동에 들어간 인사들이 최대 20여만명에 이를 것이라는 추정이 나오고 있다.

광역의원(709명)의 경우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 공천 경쟁률만도 10대1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열린우리당 7000명과 한나라당 7000명 등 모두 1만4000여명이 출마할 가능성이 있다.

민주당과 민주노동당의 공천 경쟁률을 5대1로 감안하면 두 당을 합쳐 7000여명에 이른다.

충청권의 국민중심당과 무소속 출마 준비자들이 3000여명 등 모두 2만4000여명이 광역의원 선거에 뛰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기초의원(2888명)의 경우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 공천 경쟁률은 광역의원의 두배가량인 20대1에 이를 전망이다.

따라서 두 당의 공천을 받기 위한 출마 희망자들이 10만여명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과 민노당의 경우 5만여명이 출마 대기자들로 파악된다.

국민중심당 공천 희망자와 무소속 출마자들이 3만여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