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일렉은 올해 크리스마스에 눈이 올 경우 12월에 제품을 구입한 고객 중 3명을 추첨,자사의 가전제품을 선물하는 '화이트 크리스마스 페스티벌'을 실시한다.
1등상인 '대우일렉 상' 당첨자(1명)에게는 PDP TV,홈시어터,양문형 냉장고,김치냉장고,드럼세탁기 등 대우일렉이 만드는 11개의 가전제품을 준다.
삼성E&A(옛 삼성엔지니어링)이 아랍에미리트(UAE)에서 2조5000억원 규모의 공사 계약을 지난달 31일 따냈다고 3일 발표했다.삼성E&A는 UAE 국영석유기업 아드녹과 루와이스산업단지 내 타지즈공단에 메탄올 플랜트를 짓는 ‘UAE 메탄올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계약 금액은 2조4788억원으로, 지난해 매출(9조9666억원)의 24.9%에 달한다. 계약 기간은 오는 7일부터 2028년 9월 18일까지 3년 8개월간이다. 삼성E&A는 지난해 12월 말레이시아에서 1조4000억원 규모의 바이오정유 플랜트 사업을 수주한 뒤, 두달여 만에 대규모 계약을 또 따냈다.삼성E&A는 최근 수행한 말레이시아 메탄올 프로젝트에서의 노하우와 모듈화·자동화 등 혁신 기술 등을 기반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수행하게 됐다. 또 루와이스산업단지에서 8개 프로젝트를 수행했던 경험과 현지 네트워크도 계약을 이뤄낸 원동력으로 꼽힌다.삼성E&A는 올해 상반기엔 30억달러 규모의 사우디아라비아의 블루 암모니아 프로젝트 수주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또 같은 규모의 카타르에너지의 액상천연가스(NGL) 프로젝트는 여름 또는 하반기에 수주를 확정 짓는다. 회사 측은 이외 7건의 추가 수주를 논의 중이다. 이들 사업을 포함해 삼성E&A는 올해 총 10개 프로젝트(230억달러 목표)를 따내겠다는 목표다. 북미에서도 블루 암모니아 플랜트, 탄소포집 설비 등 수주도 계획 중이다.대규모 수주 소식에 이날 삼성E&A 주가는 전날 대비 1.67% 오른 주당 1만8310원에 마감했다.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
기아는 지난 1월 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3만8403대, 해외 20만993대, 특수 175대 등 전년 동기 대비 2.4% 감소한 23만9571대를 판매했다고 3일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국내 13.9% 감소, 해외 0.1% 증가한 수치다.국내 판매는 설 연휴로 인한 영업 일수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 국내서 지난달 가장 많이 팔린 차량은 쏘렌토로 7454대가 판매됐다. 승용은 레이 3876대, K5 2583대, K8 2297대 등 총 1만363대가 판매됐다.레저용 차량(RV)은 쏘렌토 다음으로 스포티지 6547대, 카니발 6068대, 셀토스 4342대 등 총 2만5520대가 판매됐다.상용은 봉고Ⅲ가 2419대 팔리는 등 버스를 합쳐 총 2520대가 판매됐다.해외에서는 스포티지가 3만6926대 팔리며 해외 최다 판매 모델이 되었고 K3(K4 포함)가 1만8663대, 셀토스가 1만7856대로 뒤를 이었다.특수 차량은 국내에서 9대, 해외에서 166대 등 총 175대를 판매했다.기아 관계자는 “1월 설 연휴로 인한 영업 일수 감소로 국내 시장 판매가 일시적으로 감소하였으나, 해외 시장은 판매 성장세를 지속하는 중이다”며 “’25년은 타스만, 시로스, EV4, PV5, EV5 등 다양한 신차로 라인업을 확장해 글로벌 판매 성장세를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최수진 한경닷컴 기자 naive@hankyung.com
"트럼프 정부가 들어선다해도 바이오에너지 전환이 중단되거나 하는건 불가능하다"오태길 HD현대오일뱅크 글로벌사업본부장(전무)은 3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바이오에너지 사업 전망과 관련 이렇게 말했다. 오 본부장은 HD현대오일뱅크에서 바이오 사업부문을 총괄하고 있다. 바이오에너지 사업은 폐식용류, 팜유, 폐플라스틱 등으로 만는 SAF(항공), 바이오선박유(선박), 바이오디젤(자동차)를 제조·판매하는 사업이다. 글로벌 탄소배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원유가 아닌 바이오 기술을 활용한 친환경 정유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HD현대오일뱅크는 국내 정유 4사중 유일하게 바이오항공유(SAF) 전용설비 계획(2027년까지 30만t 전용공장 설립)을 밝히는 등 친환경 전환에 가장 적극적이라는 평가다. 지난 6월 국내 최초로 일본 ANA항공(전일본공수)에 SAF를 수출하기도 했다. 그는 "미국의 바이오 에너지에 대한 지원 정책과 인센티브 정책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4년 임기로 트렌드 자체를 바꿀 수는 없다"고 했다. 오 본부장은 "필립스66, 액손 등 미국 대형 메이저 정유사들도 SAF 생산 시설 등에 막대한 투자를 했고, 이미 진행 중인 프로젝트도 많아 관련 정책의 급진적인 폐기 등은 어렵다"며 "트렌드의 반대로 가는건 친트럼프적인 미국 정유사들의 이해관계와도 맞지 않는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오 본부장은 "에너지 전환의 또다른 한축인 유럽쪽은 규제 강화로 그 지역에 정유제품을 팔기 위해서는 친환경 원료가 필수가 되고 있다"며 "유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