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달청이 최근 책임운영기관인 중앙구매사업단(전 중앙보급창) 단장을 공모하는 과정에서 어수룩한 행정처리와 부적격자 응모 시비로 또 구설수에 올랐다. 중앙 일간지에 모집공고를 내야한다는 절차를 지키지 않아 이미 치른 면접시험을 무효화했기 때문이다. 당초 조달청은 홈페이지에만 모집공고를 낸 뒤 지난달 25일 응모자들을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했다. 뒤늦게 절차를 어긴 사실이 발견되자 지난 2일자 모 일간지에 채용공고를 낸 뒤 오는 14일 다시 면접시험을 치르기로 했다. 이뿐만 아니다. 조달청은 면접 결과 2003년 비리 혐의로 징계를 받은 내부 인사를 단장 후보 1순위로 내정했다. 이에 앞서 조달청은 지난 5월 '손전등 구매비리사건'으로 큰 물의를 일으킨 바 있다. 전 중앙보급창장 등 일부 직원들은 손전등과 프린터용 재생 카트리지 제조업체로부터 금품과 향응을 받고 납품 편의를 봐주거나 물품을 시가보다 비싸게 구입,수십억원대의 국고 손실을 냈다는 혐의로 기소됐다. 이에따라 조달청은 관련 직원 8명에게 6000만~1억4000만원의 배상청구명령을 내렸다. 검찰은 비리 전모를 파헤치기 위해 관련자들에 대한 수사를 계속하고 있다. 조달청 직원들은 "신뢰가 땅에 떨어진 중앙구매사업단의 최고책임자를 선발하면서 청렴도와 도덕성을 우선시해야 하는데도 '전과'가 있는 인사를 1순위로 내정한 것은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말하고 있다. 음주운전 전력만 있어도 승진 경쟁에서 밀릴 만큼 참여정부의 청렴 의지가 강력한 현실에서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결과라는 얘기도 곳곳에서 나온다. 지난번 면접시험 응모자도 미숙한 행정의 피해자로 볼 수 있다. 면접무효 통보를 받은 외부 응시자들은 황당하다는 반응이다. 내부 응모자들 역시 속으로 끙끙 앓고 있다. 지난번 면접에서 1,2순위가 이미 정해져 오는 14일 실시되는 면접에 또다시 응모할 수도, 안할 수도 없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조달청은 이번에야말로 적임자를 선임해야만 깨끗하고 투명한 조달행정 구현과 함께 흐트러진 조직을 다시 추스를 수 있을 것이다. 백창현 사회부 기자 chbai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