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항4]

제시문은 행성의 크기, 태양까지의 거리에 따라 표면 온도는 변하며, 그에 따라 지구 환경이 달라진다는 말로 요약을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주어진 조건에 따라 표면 온도는 어떻게 달라질까를 유추해보면 될 것이다.




제시문(나)에서는 태양까지의 거리가 현재의 70% 가 되면 태양 상수는 (태양에서 행성 까지의 거리) 에 반비례하므로 지금의 약 2배가 될 것이다. 크기, 화학 조성이 지금과 같 으므로 밀도나 중력은 지금과 비슷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태양까지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지구의 표면 온도는 지금보다 높아지므로 물은 주로 증발하여 액체 상태보다 수증기 상태로 존재하게 되고 또 증발된 수증기는 금성과 같은 두터운 대기층을 형성하고 생성된 두터운 대기층은 온실 효과를 유발하여 지금보다 표면 온도가 훨씬 더 높아지게 된다.

결국 지구의 중력이 감소하면 대기층은 지금보다 더 얇아지게 되고 물과 같은 분자는 지구상에 머물지 못하게 되고 또한 태양까지의 거리가 지금보다 더 가까워진다면 표면온도가 높아져 지구상의 물은 증발하게 되므로 하여 결국 두 경우 모두 액체 상태의 바다는 존재하기 힘들게 돼서 생명체는 존재하기 힘들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