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어제 콜금리를 연 3.75%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지난 10월에 이어 올들어 두 번째로 콜금리를 인상한 것은 무엇보다 경기회복에 대한 한은의 강한 낙관, 그리고 이에 따른 물가우려 등에 대한 선제적(先制的) 대응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경기회복을 아직 자신하기에는 이르다는 관점에서 보면 이번 콜금리 인상이 불안하게 느껴지는 점도 솔직히 없지 않다. 한은은 최근 우리 경제가 올 4분기 4.8% 성장에 이어 내년에는 5%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이 전망대로라면 3년째 잠재성장률에도 미치지 못해 왔던 우리 경제가 일단 침체국면에서 벗어난다는 의미가 된다. 그러나 문제는 과연 이렇게 낙관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물론 한은 전망대로 경기회복세가 틀림없다고 한다면 그동안 저금리 정책의 최대 명분이 해소되는 셈이고, 따라서 한은은 물가상승 우려 등에 미리 대응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했을 것이 분명하다. 여기에 미국 정책금리와의 격차가 더 벌어질 경우 국내 자본의 해외이탈이 우려되는 데다 갈수록 시장금리와 정책금리와의 격차가 벌어지고 있는 현실 또한 콜금리 인상의 압박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게다가 과잉 유동성 문제, 최근 들어 이상조짐을 보이고 있는 부동산 가격 등도 통화당국에 부담이 됐을 것이다. 그러나 경기회복에 보다 우선순위를 둔다면 이번 콜금리 인상으로 인해 걱정되는 점들도 적지 않다. 내수회복 속도가 예상보다 더디고 특히 기업투자가 되살아나고 있다는 결정적 징후(徵候)는 아직도 발견되지 않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이번 콜금리 인상으로 시장금리가 더욱 가파르게 상승할 경우 은행대출이 많은 가계나 기업의 부담이 커질 것이고 이는 그만큼 경기회복에 마이너스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동안 우리 경제의 성장을 이끌어 왔던 수출 또한 엔화 폭락에서 보듯 안심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일본이 보수적인 금리정책을 유지한다면 원화가치는 엔화에 비해 더욱 큰 폭으로 절상될 수 있고 이는 그대로 일본제품과 경쟁하는 우리 기업들에는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한마디로 고유가 환율불안에다 금리의 급격한 인상이 더해질 경우 경기회복에 걸림돌이 될 수도 있는 만큼 앞으로 금리정책 또한 경기상황을 감안해 보다 세심하게 운용해 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