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토시의 공교육 혁신 사례 .. 파격적 교원평가제 실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공교육에 불만을 갖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와 학부모들의 적극적인 참여 및 능력별 교육으로 혁신을 꾀하는 학교들이 나타나고 있다.
교토시가 대표적이다.
교토의 교쇼미나미 초등학교는 2년 전 실시된 전국 학력경시대회에서 1위를 차지,공영방송 NHK에 특집으로 소개되면서 전국적으로 유명세를 탔다.
역시 교토의 다치보리가와 고교는 문부성으로부터 '슈퍼 사이언스 고등학교'로 지정받은 뒤 학생들의 연구개발 능력을 키워 평판이 좋아졌다.
2000년 6명에 불과했던 국립대 합격자 수는 최근 135명으로 급증했다.
이들 학교는 특정 과목을 선정하지 않고 학생들에게 자율시간을 주는 '종합학습'(자율학습)을 혁신했다.
가도카와 다이사쿠 교토시 교육감은 "종학학습은 교사에게만 맡겨두면 성과가 안난다"며 "학교의 조직적인 대책,신교재 개발,학부모 등 지역 사회와의 협력 등으로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다치보리가와 고교의 경우 '탐구기초시간'을 도입,전교생을 3~15명가량으로 능력별로 편성해 글쓰기와 발표 등을 체계적으로 가르치고 있다.
정보 수용력,사고력,판단력,표현력을 키우는 게 교과목의 목표다.
또 탈선 학생을 막고 면학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모든 학부모는 의무적으로 1년에 1회 이상 학교 행사에 자원 봉사자로 참여토록 하고 있다.
교토시는 학교운영협의회 설치,교원 공모제,학교 평가 시스템 등도 도입해 학교 간은 물론 교직원끼리의 경쟁을 유도하고 있다.
지난 4월부터는 파격적으로 교원 평가 시스템도 실시하고 있다.
교원의 질이 떨어진다고 판단될 경우 퇴직을 권고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