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선물거래소는 14일 수성의 코스닥시장 신규상장을 승인,16일부터 매매거래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수성은 전동지게차 리프트 등 소형전동 물류기계를 생산하는 기계장비 제조업체로 올 상반기에 매출 118억원,순이익 12억원을 기록했다.
전동지게차가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50%에 달한다.
공모가는 3000원이었다.
김태완 기자 twkim@hankyung.com
코스닥시장 상장사 조광아이엘아이가 대유 주식 5.28%를 공개매수한다고 13일 공고했다. 14일부터 3월 7일까지 주당 2300원(거래 정지 가격)에 매수한다. 공개매수 예정 주식 수는 130만4347주다. 총 매수 금액은 30억원이다.공개매수자인 조광아이엘아이는 산업용 특수밸브에 해당하는 안전밸브 생산 업체로, 대유 지분 22.05%를 소유한 최대주주다. 공개매수 대상인 대유는 비료와 농약, 의약외품을 제조·판매한다. 대유는 김우동 전 대표의 배임 혐의로 2023년 4월 26일부로 주식 거래가 중지됐다.이태호 기자
※ ‘이시은의 투자고수를 찾아서’는 이시은 한국경제신문 기자가 매주 수요일 한경닷컴 사이트에 게재하는 ‘회원 전용’ 재테크 전문 콘텐츠입니다. 한경닷컴 회원으로 가입하시면 더 많은 콘텐츠를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여전히 ‘비즈니스맨’입니다.”고재호 칸서스자산운용 주식운용본부장은 지난 7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 발언에 따른 주가 급변은 좋은 주식을 싸게 담을 기회”라며 “특히 기술 수출 역량을 바탕으로 모멘텀(동력)을 보유한 바이오주들을 주목할 만하다”고 말했다. 아데나투자자문, 유리자산운용 등을 거친 그는 2018년부터 칸서스자산운용에서 국내주식 운용을 책임지고 있다. 그가 운용하는 펀드(절대수익형)는 최근 5년간 연환산 목표수익률(20%)을 모두 달성했다. 빅파마 등에 업은 바이오株 '촉각'지난 3일 국내 증시엔 예고된 ‘파란불’이 켜졌다.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와 캐나다를 대상으로 25% 관세 부과를 선언하며 코스피지수는 2.52% 하락했다. 극적인 유예 조치로 공포감이 더 번지진 않았지만 중국과의 갈등 심화와 철강 관세 등은 또 다른 급락 가능성을 부르고 있다. 고 본부장은 “트럼프 대통령은 결국 협상을 펼치며 정국을 이끌겠지만 단기적으론 변동성이 극대화할 수밖에 없는 구간”이라며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얼마나 자극할지 예의 주시해야 한다”고 했다.이런 상황에서 그가 관심을 가지는 투자처는 바이오다. 고 본부장은 “금리 인하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는 우려가 번질 때마다 바이오주는 출렁일 것”
※한경 마켓PRO 텔레그램을 구독하시면 프리미엄 투자 콘텐츠를 보다 편리하게 볼 수 있습니다. 텔레그램에서 ‘마켓PRO’를 검색하면 가입할 수 있습니다.“매크로(거시경제) 변수에 질 회사는 애초에 투자하면 안 됩니다.”이호걸 캄투자일임 대표는 13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딥시크 쇼크’든 ‘관세 전쟁’이든 어떤 상황에서도 잘 나가는 회사는 있다”며 “진부하지만 삼양식품과 ‘매그니피센트7(M7)’의 메타가 올해도 그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대 가치투자동아리 ‘스누밸류’ 출신인 그는 2019년 동아리 동료와 레인메이커자산운용을 공동 창업하고 시장에 이름을 알렸다. 2023년부터는 캄투자일임을 세워 국내와 해외 주식 투자에 집중하고 있다. '불닭' 삼양식품, 9년간 10배 올랐다이 대표는 “올해도 국내 증시의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 부담은 적지만 전망이 밝다고 말하기는 어렵다”며 “관세 충격 같은 단기적 출렁임보다 반도체·차·바이오·화학 등 주요 업종이 중국발 저가 공습에 구조적으로 이익이 감소하고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고 했다. 미 증시도 지난해와 같은 폭발적 상승세를 보이긴 힘들 것으로 전망했다. 국내외 투자처 모두 어느 때보다 개별 기업의 펀더멘털(기초체력)을 주시할 때라는 분석이다.국내 증시에서 이 대표가 주목하는 기업은 작년 254.17%나 급등한 삼양식품이다. 그는 “사실 삼양식품이 우상향하기 시작했던 시기가 2016년이란 점을 많이들 간과한다”고 말했다. ‘불닭볶음면’이 수출이 실적에 반영되기 시작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