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석 서울대 교수가 말한 "인위적 실수"란 무엇일까. 황 교수는 16일 기자회견에서 "(미국 과학저널) 사이언스 2005년 논문은 진위여부와 별개로 이미 아시는 바와 같이 테라토마 사진에서 결정적인 실수가 있었으며 사진촬영에서도 돌이킬 수 없는 인위적 실수가 있었다"고 밝혔다. 테라토마 사진은 '결정적인 실수'라고 한데 반해 사진촬영에 대해서는 '인위적 실수'라고 밝히며 사실상 실수가 아닌 고의적인 행위였음을 내비친 것이다. 이는 곧 미국 피츠버그대에 파견된 김선종 미즈메디병원 연구원이 MBC PD수첩팀과의 인터뷰에서 "황 교수의 지시를 받아 2,3번 줄기세포를 갖고 11개의 줄기세포 사진으로 불렸다"고 말한 것을 뜻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당시 김 연구원은 "해서는 안되는 일이었고 마음의 부담을 느꼈다"고 말했으며 이는 곧 일부에서 사진 촬영이 논문조작에 사용될 것임을 짐작했음에도 황 교수의 지시를 어쩔수 없이 따랐다는 뜻으로 해석됐다. 노성일 미즈메디병원 이사장도 16일 기자회견을 통해 "김 연구원이 황 교수의 지시를 받고 2,3번 줄기세포를 가져갔다"며 "황 교수에게 환멸을 느꼈다"고 밝혀 이 같은 정황을 뒷받침했다. 김 연구원의 PD수첩팀과의 인터뷰 내용은 최근 인터넷 매체인 프레시안에 공개돼 황 교수팀의 논문조작 의혹을 일파만파로 확산시켰다. 실제 한국과학재단지정 생물학연구정보센터 인터넷 사이트(BRIC) 등 일각에서는 2,3번 줄기세포와 다른 줄기세포의 사진이 같다는 것을 밝혀 줄기세포 진위논란을 새로운 국면으로 전환토록 했다. 이에 따라 결국 황 교수는 이번 언급을 통해 논문에 실린 사진이 중복됐음을 시인하는 것은 물론 이것이 사실상 실수가 아닌 '조작'이었음을 인정한 셈이 됐다. 황 교수는 "사이언스측과 삼각대화를 통해 비록 논문의 진위여부가 확인된다고 하더라도 공동 연구자들의 동의를 모두 구한 뒤 자진철회를 하겠다고 통고했다"고 밝혔다. 임도원 기자 van769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