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 정세균(丁世均) 의장은 18일 한나라당의 등원거부에 따른 국회공전 사태와 관련, "예산안 처리와 이라크파병 연장, 부동산종합대책 후속입법 등 중대하고 시급한 사안에 대해 한나라당이 불성실한 태도로 일관할 경우 부득이 타(他) 야당과 공조해 처리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정 의장은 이날 오후 세종로 외교부 청사에서 열리는 당정 워크숍에 앞서 배포한 `17대 국회 운영성과와 향후 과제'라는 제목의 기조발제문에서 "시급한 민생경제 현안과 관련된 법안과 예산안의 처리를 정략적 이유로 지연시키는 것은 국민생활을 볼모로 한 불법행위"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 같은 언급은 한나라당이 등원을 계속 거부할 경우 소수야당인 민주당, 민주노동당과 함께 `3당 국회'를 가동해 새해 예산안과 중요법안의 처리를 강행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한 것이어서 한나라당측의 대응이 주목된다. 정 의장은 또 "한나라당이 정상적 입법과 예산심의를 거부하는 등 장외투쟁에 나서는 것은 정당화 될 수 없는 구시대적 작태"라며 "`야당이 OK할 때까지' 국회가 아무 것도 할 수 없다면 야당에 의한 변형된 독재에 다름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정 의장은 이어 "제로섬 게임인 정쟁을 줄이고 협력과 연대의 정치를 향해 가야 한다"고 상생의 정치문화를 강조하고 ▲여야 정책협의회 정례화와 ▲`여야 합동 의원총회' 개최를 제안했다. 합동의원 총회는 여야가 정파적 이해관계를 초월해 국가적 어젠다를 공동으로 논의하자는 것으로,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대연정 구상 제안시 언급된 바 있다. 정 의장은 개헌논의와 관련, "6월 항쟁으로 수립된 87년 체제의 성과와 한계를 명확히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 사회의 분열과 대립을 극복할 수 있는 생산적 대안을 모색할 때"라고 공론화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정 의장은 2007년 대선에 언급, "우리 사회에 아직도 팽배한 이분법적 흑백논리를 딛고 통합과 상생의 리더십을 탄생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성숙한 시민의식과 역사인식을 바탕으로 "미래세력+평화세력+민주개혁세력의 3대 세력이 주도하는 제3기 민주정부가 수립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 의장은 이밖에 `한국이 2050년 미국을 제외한 G7국가들을 능가하게 될 것'이라는 세계적 투자자문사 골드만삭스의 예측자료를 토대로 "한국은 2010년 3만 달러를 달성할 수 있다는 비전과 용기를 가질 때 희망의 나라로 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노효동 기자 rhd@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