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느냐 먹히느냐 … 금융 대격변 예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민은행의 외환은행 인수작업 본격화는 국내 금융산업에 있어 또 한 차례 대격변을 예고한다.
하나금융지주도 '외환은행을 인수하지 못하면 우리가 먹힌다'는 각오로 배수진을 치고 있는 탓이다.
◆'국민+외환' 시나리오
국민은행은 '덩치 큰 소매은행'에서 기업금융 및 외환까지 갖춤으로써 실질적인 리딩 뱅크로 올라선다.
반면 하나금융은 졸지에 피인수 대상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다.
덩치 싸움에서 밀리기 때문이다.
하나금융 자산이 100조원인 반면 국민은행(외환 포함)은 271조원,신한지주는 190조원,우리금융은 146조원이다.
'빅4' 체제가 '빅3' 체제로 재편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이 경우 하나금융이 우리금융과 어떤 식으로든 합쳐질 것이란 관측까지 제기되고 있다.
물론 국민은행은 넘어야 할 산이 있다.
우선 '한 은행의 시장 지배력이 과도해지는 데 따른 부작용 우려'를 불식시켜야 한다.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과거 국민은행이 장기신용은행을 흡수 합병했지만 기업 금융을 제대로 키우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하나+외환' 시나리오
하나금융의 자산이 171조원으로 커져 국민 신한 우리와 어깨를 나란히하게 된다.
현행 '빅4' 체제가 상당기간 이어질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지주회사 체제를 못 갖춘 국민은행이 코너에 몰릴 것으로 보인다.
신한 우리 하나금융은 금융지주회사 체제를 통해 겸업화 기반을 마련했다.
결국 국민은행은 가계·중소기업 전문 '커머셜 뱅크(commercial bank)'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다.
증권사 애널리스트들이 "연간 1조5000억~2조원(당기순이익)의 현금창출 능력을 보유한 국민은행이 가만히 앉아 있는 것은 리딩뱅크 경쟁을 포기하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말하는 이유다.
물론 하나금융도 난관이 없는 것은 아니다.
자기자본 없이 해외 파트너를 끌어들여 외환은행을 인수하려는 데 대해 감독당국의 시선이 곱지 않은 탓이다.
장진모 기자 jang@hankyung.com
하나금융지주도 '외환은행을 인수하지 못하면 우리가 먹힌다'는 각오로 배수진을 치고 있는 탓이다.
◆'국민+외환' 시나리오
국민은행은 '덩치 큰 소매은행'에서 기업금융 및 외환까지 갖춤으로써 실질적인 리딩 뱅크로 올라선다.
반면 하나금융은 졸지에 피인수 대상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다.
덩치 싸움에서 밀리기 때문이다.
하나금융 자산이 100조원인 반면 국민은행(외환 포함)은 271조원,신한지주는 190조원,우리금융은 146조원이다.
'빅4' 체제가 '빅3' 체제로 재편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이 경우 하나금융이 우리금융과 어떤 식으로든 합쳐질 것이란 관측까지 제기되고 있다.
물론 국민은행은 넘어야 할 산이 있다.
우선 '한 은행의 시장 지배력이 과도해지는 데 따른 부작용 우려'를 불식시켜야 한다.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과거 국민은행이 장기신용은행을 흡수 합병했지만 기업 금융을 제대로 키우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하나+외환' 시나리오
하나금융의 자산이 171조원으로 커져 국민 신한 우리와 어깨를 나란히하게 된다.
현행 '빅4' 체제가 상당기간 이어질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지주회사 체제를 못 갖춘 국민은행이 코너에 몰릴 것으로 보인다.
신한 우리 하나금융은 금융지주회사 체제를 통해 겸업화 기반을 마련했다.
결국 국민은행은 가계·중소기업 전문 '커머셜 뱅크(commercial bank)'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다.
증권사 애널리스트들이 "연간 1조5000억~2조원(당기순이익)의 현금창출 능력을 보유한 국민은행이 가만히 앉아 있는 것은 리딩뱅크 경쟁을 포기하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말하는 이유다.
물론 하나금융도 난관이 없는 것은 아니다.
자기자본 없이 해외 파트너를 끌어들여 외환은행을 인수하려는 데 대해 감독당국의 시선이 곱지 않은 탓이다.
장진모 기자 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