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사회공익활동 강화..우량中企 대출 활성화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융감독당국은 내년부터 우량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을 보다 활성화하는 등 국내 은행들이 사회적 책임 경영을 강화하도록 유도키로 했다.
금융감독원은 국내 은행이 경영 건전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율적으로 사회적 공익활동을 확충해 나가도록 유도할 방침이라고 27일 밝혔다.
김중회 금감원 부원장은 "올해 사상 최대의 실적을 올리고 있는 은행들이 공익재단 설립,기부 등 사회공헌 활동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아직 사회적 요구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며 이 같은 계획의 취지를 설명했다.
금감원은 국내 은행의 중소기업금융 취급이 보다 확대될 수 있도록 미래 채무상환능력은 양호하지만 정보 부족 등으로 대출이 곤란한 기업을 대상으로 '관계형 대출'의 활성화를 적극 지도키로 했다.
이는 은행과의 장기 거래관계를 통해 획득한 정성적(qualitative) 정보에 기초해 취급되는 대출로 객관적 정보를 근거로 취급되는 '거래대출'과 대비되는 것이다.
금감원은 관계형 대출을 늘리기 위해 이에 적합한 신용평가시스템과 여신 취급기준을 개발하고 경영 상담이나 지원을 강화하도록 유도하기로 했다.
금감원은 또 국내 은행들로 하여금 선진국 은행처럼 '사회적 책임 보고서'를 매년 발간하고 사회적 책임 경영과 공표에 대한 모범 규준을 마련하거나 국제규범에 가입하는 것은 물론 전담조직을 설치할 것을 권고하기로 했다.
금감원은 은행권의 자율공시 운영성과를 지켜본 후 궁극적으로 사회적 책임경영 활동에 대한 공시를 의무화하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
아울러 은행의 과도한 수익성 추구과정에서 금융소비자의 권익이 침해되지 않도록 휴면 예금의 적극 반환,불공정 소지가 있는 금융거래 근절 등 대고객 윤리 경영을 강화하도록 지도할 예정이다.
김 부원장은 "국내 은행의 사회공헌 활동 규모는 당기순이익의 1.1%로 선진국 대형은행(2%)에는 못 미치지만 사회공헌활동 관련 계정이 기부금 계정으로 일원화되면 이 비율이 높아질 것"이라며 "신한지주 및 외환·기업·경남은행 등은 공익재단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성태 기자 ste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