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8일자) 기업ㆍ기업인이 존경받는 사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경련이 어제 발표한 국민의식조사 결과에서 기업인이나 부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난 것은 우려하지 않을 수 없는 현상이다. 우리 사회에 만연한 반(反)기업 정서가 경제회복의 관건인 투자와 소비를 위축시키는 것은 물론 사회 갈등을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특히 지난해보다 전체적인 기업호감도가 약간 개선됐는데도 대기업 호감도는 낮아졌고,기업인의 30% 이상이 반기업정서가 '더 심해졌다'고 응답한 것은 더욱 걱정스런 대목이다. 이는 경제의 핵심 성장동력인 기업의욕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음을 방증(傍證)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반기업ㆍ반부자 정서는 시장경제의 근간마저 흔들 소지가 크다는 점에서 정말 시급하게 개선되지 않으면 안될 과제다. 물론 이런 정서에는 많은 기업들의 투명성 부족 등에 따른 불신과 빈부격차가 심해지면서 비정상적 방법으로 부(富)를 쌓은 사람들에 대한 반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기업인들이 반기업 정서 조장의 최대 요인으로 '언론의 반기업적 보도'(31.6%)를,다음에 '적대적 노사관계'(30.7%),'시민단체의 과도한 경영간섭'(11.4%) 등의 순으로 지목한 것은 유의해볼 필요가 있다. 사회 일각에서 반기업 정서를 부추기고 있다는 얘기다. 이는 이번 조사에서 기업활동의 목표로 일반인들은 '소비자 만족'이나 '이윤극대화'보다 오히려 '국가와 사회발전에 대한 기여'를 첫손 꼽아 시장경제의 기본원리에 대한 인식부족을 보여준 것과도 무관치 않다.
문제는 지금 기업들이 여전히 적극적인 투자에 나서지 않고 있는 것도 결국 이 같은 사회 분위기의 영향이 크다는 점이다. 시장경제에선 기업이 투자해야 일자리가 창출되고 부자들이 돈을 써야 소비가 늘면서 경기가 살아난다. 가뜩이나 경제가 어려운데 반기업ㆍ반부자 정서마저 기승을 부린다면 누가 투자하고 돈을 쓰겠는가.
이제 정치권이나 시민단체는 물론 국민들도 더 이상 기업이나 부자들을 몰아세워선 안된다.
기업활동을 촉진하는 법적 제도적 뒷받침을 아끼지 말고,정당한 방법으로 돈을 모은 부자를 존중하는 것이 시장경제의 기본이자 경제를 살리는 길임을 모두 인식해야 한다. 기업인들도 윤리경영 실천과 투명성 제고에 보다 주력해 반기업정서 해소에 앞장서야 함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