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09년까지 대학병원 수준의 진료능력을 갖춘 군병원이 설립돼 군 장병들도 질높은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또 의무시설 이용이 어려운 격오지 부대 장병들을 위해 현재 시범운영 중인 원격진료시스템을 조기에 확산, 정착시키는 한편 입원 중인 일부 장병들이 담당했던 배식과 청소 등의 폐단도 없애도록 했다. 국군의무사령부는 5일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군 의무발전 추진계획'을 발표해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의무사령부에 따르면 군은 오는 2009년까지 경기도 부천지역에 민간대학병원 수준의 진료능력과 수련 및 연구기능을 구비한 가칭 `국방 메디컬센터'를 건립해 장병들에게 양질의 진료를 제공할 방침이다. 군병원의 진료능력을 초과하는 질환에 대해서는 민간협진병원 위탁진료를 활성화해 진료 접근성과 여건을 개선시키기로 했다. 또 X-레이와 CT, MRI 등 환자 촬영 영상을 컴퓨터에 저장.전달해 진단을 실시하는 `의료영상 정보전달 시스템' 등 국방 `e-헬스체계'를 조기에 구축하고 전 군의 응급환자를 의무사령부와 수도병원에서 중앙통제해 최적의 응급진료가 이뤄지도록 시스템을 강화하기로 했다. 의무사령부는 환자 중심의 군병원을 조성하기 위해 작년 5월에 제정한 `국군병원 윤리강령 및 환자 권리장전'에 따른 실천조치로 장병이 입원할 때 병원장 명의의 서신을 보호자에게 보내 환자의 상태를 알려주고, 퇴원시에는 진료결과와 유의사항을 소속부대에 통보해 군병원과 부대간의 관리체제를 유지하기로 했다. 또 국군의무사령부 교환대를 통해 `입원환자 전화안내서비스'도 제공한다. 입원환자의 배식과 청소, 세탁 등을 용역업체에 위탁함으로써 그동안 증상이 가벼운 입원장병이 배식과 청소, 세탁 등을 담당했던 폐습도 없애기로 했다. 장병들이 외래 진료후 즉시 입원할 수 있도록 입원절차를 획기적으로 개선해 장병들의 조기진료권을 보장할 예정이다. 군병원은 `노충국 사망사건'이 불거진 이후인 작년 11월26일 장병들이 상시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종전의 외진 지정일을 폐지한 바 있다. 임상경험이 부족한 단기 군의관 위주였던 군병원 체질을 개선하기 위해 장기 군의관의 처우를 국.공립병원 수준으로 상향 조정해 우수한 장기 군의관을 확보하는 한편 당장에는 부족한 장기 군의관을 확보하기 위해 민간의사를 임용할 예정이다. 동시에 군환자 진료의 대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단기 군의관들의 사기진작을 위해 전임의에 대한 소령진급기회 부여, 성과급제도 도입, 민간병원 수련기간 호봉합산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민간 의료기관 평가기준서'를 군병원에 벤치마킹해 주기적인 의료질 평가를 시행하겠다고 의무사령부는 밝혔다. 군은 이 같은 계획을 모두 3단계로 나눠 2009년까지 추진할 방침이다.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이상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