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이 황우석 교수팀 연구비 지원의 문제점에 대한 감사를 벌인다. 검찰도 줄기세포 논문조작 사건 수사강도를높이고 있다. 수사팀 구성 하루 만인 12일 황우석 교수의 자택 등 26곳에 대해 전격 압수수색을 실시했던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은 13일 문신용 서울대 의대 교수 등 연구 관계자 4명의 집과 사무실 6곳을 압수수색했다. 수사팀은 또 2004년 논문의 공동 저자를 중심으로 17명에 대해 추가로 출국금지 조치를 내렸다. 수사팀은 12일과 13일 이틀간 실시한 압수수색에서 확보한 자료를 대검의 협조를 받아 정밀 분석하고 있다. 12일 진행된 1차 압수수색에서 검찰은 33상자 분량의 각종 자료와 컴퓨터 59대,CD 190여개 등을 압수했다. 검찰은 윤현수 한양대 의대 교수가 서울대의 조사가 진행 중이던 지난 5일께 미국 피츠버그대 박종혁ㆍ김선종 연구원 등과 e메일을 주고받으며 '말맞추기'를 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조사할 계획이다. 연구비 수사와 관련해서도 수사팀은 감사원의 최종 감사 결과를 기다리지 않고 감사원과 공조 체제를 구축하면서 수사해 나가기로 했다. 그러나 소위 '황금박쥐' 그룹을 만들어 황 교수를 적극 지원했고 난자 제공과 관련한 윤리 문제가 불거졌을 때도 황 교수를 적극 옹호해 빈축을 샀던 박기영 청와대 과학기술보좌관은 아직 출금 대상에 들어가지 않았다. 감사원은 오는 16일부터 내달 21일까지 과학기술부,서울대 등 7개 기관을 대상으로 황우석 교수팀 연구비 지원에 대한 감사를 벌인다. 감사원은 1단계로 황 교수팀에 대한 중복 지원여부 및 지원 규모의 적정성과 함께 지원금 관리체계와 감독업무 등을 점검하고,이어 2단계로 국가 R&D사업 지원 및 관리시스템 전반을 살펴보기로 했다. 황 교수에게 전달된 정부의 연구 지원금은 모두 417억원(민간 후원금 43억원)으로 파악됐다. 서울대도 논문조작 사건에 연루된 교수들에 대한 자체 징계 절차에 들어갔다. 서울대는 황우석 이병천 강성근 교수 등 사이언스 논문 공동저자 7명에 대해 오는 26일 징계위원회 1차 회의를 소집할 예정이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