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의 고용동향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실업자는 88만9000명으로 지난 2001년 이후 4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또한 취업자는 2285만여명으로 2004년에 비해 29만여명이 늘어남으로써 정부의 당초 목표치(40만명)에는 물론 수정 목표치(30만명)에도 미치지 못했다. 한마디로 정부의 일자리 창출 노력과 고용 정책 등이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다. 실업문제가 개선되기는커녕 오히려 갈수록 악화(惡化)되고 있는 양상이고 보면 여간 걱정스러운 일이 아니다. 성장동력이라 할 수 있는 15~29세의 청년 실업률이 8%대로 전체 실업률(3.7%)의 2배를 훨씬 넘고 있는 데다 구직 단념자 또한 12만5000명에 이르는 등 청년 실업문제가 심각한 실정이다. 실제로 경기 부진으로 신규 채용이 대폭 줄어든데다 돈을 벌려는 30,40대들이 노동시장에 가세하면서 지난해 청년층의 일자리는 오히려 12만여개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우려되는 것은 청년실업이 증가하면서 대기업 생산직 근로자의 평균 연령이 이미 40대로 접어드는 등 현장 인력의 고령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더욱이 일단 채용하면 해고를 사실상 불가능하게 만드는 노사협약(協約) 등으로 인해 기업들이 신규인력 채용을 꺼리고 있는 상황 등을 감안하면 고령화는 가속화할 수밖에 없다. 문제는 생산현장의 고령화가 인건비의 상승 등을 초래함으로써 결국 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킨다는 점이다. 따라서 젊은이들에게 더 많은 일자리를 제공하고 고용유연성을 확대할 수 있는 정책을 적극 마련해나가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정부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최선의 방법인 기업투자를 되살릴 수 있는 여건부터 조성(造成)해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