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기사는 기획 PR 기사 입니다. > 국내 부동산시장 기상도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그리 맑지만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가 지난해 고강도 8ㆍ31부동산대책을 내놓으면서 △2주택 이상 양도세 중과△금리 인상 △실 거래가 의무화 △금융기관 대출 억제 △아파트 층고제한 완화 좌절 △농지 및 임야 거래 조건 강화 △증권 등 자금의 금융시장 이동 등 부동산시장을 어둡게 하는 요인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8ㆍ31부동산종합대책에도 불구하고 집값은 좀처럼 잡히지 않고 있다. 고가 분양가 논란도 더욱 잦아지고 있다. 일부 지방에서는 고가 분양 책정이 도를 넘으면서 부동산시장 전체가 불안해지고 있다. 대구에서는 호화 주상복합을 짓는 한 건설사가 펜트하우스를 평당 1700만 원대에 분양하겠다며 승인을 요청해 논란을 빚고 있고, 부산에서도 얼마 전 1200만 원대의 주상복합이 해운대에 등장했다. 대전에서도 1000만 원대 주상복합이 공급됐으며, 동탄신도시 분양가도 원가연동제가 적용되지 않는 평형은 서울 강북 수준인 평당 900만 원대까지 올랐다. 고분양가 책정은 최근의 '청약 양극화' 현상과 맥을 같이한다. 8ㆍ31대책 이후 분양시장이 침체하면서 청약 양극화 현상이 더욱 뚜렷해지자 사업이 잘되는 곳의 분양가를 높이는 '배짱 분양'의 연결고리가 형성된 것이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몇몇 인기지역의 경우 도심 주택을 사들여 아파트를 지으려는 개발업체가 넘쳐나면서 매매차익을 노리는 부동산 중개업자들까지 마구 땅을 사들이고 있다. 터 매입가격이 비싸지면서 아파트 분양 값과 주변 땅값도 함께 오르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 지주들도 건축업자의 약점을 노려 과도한 땅값을 요구하는가 하면, 일부 개발업자는 터를 팔지 않는 지주에게 협박성 우편물을 보내는 등 해프닝이 속출하고 있다. 분양가 결정은 시행사의 역할이 크다. 건설사는 공사에서 수익을 낼 뿐이다. 적정 수익 이상의 턱없이 높은 분양가를 주장하는 일회성 시행사는 퇴출돼야 마땅한 이유다. 최근 시공사뿐만 아니라 시행사들끼리의 경쟁도 치열해지면서 몇몇 시행사들이 '되는' 곳에서 한몫 챙기려는 생각에 분양가를 높이는 데 가세하고 있다. 고가 분양이 문제가 되는 것은 부동산시장 전체에 파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후에 공급되는 아파트 분양가의 기준이 되는 것은 물론 주변 아파트 값에도 영향을 미친다. 시행사가 고가 분양의 유혹에 빠져들면 들수록 더 많은 규제가 필요해지고 결국에는 더 큰 손해를 입게 될 것이라는 점은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눈앞의 이익에 급급해 스스로를 옭아매는 일은 '교각살우'(矯角殺牛)의 우를 범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상가나 아파트를 분양받은 투자자들이 가장 크게 불만을 갖는 것은 분양 전후의 사정이 달라지는 점이다. 계약서를 쓰기 전에는 회사 측에서 온갖 장밋빛 청사진을 내놓았다가 막상 사업이 진행되면서 당초 제시했던 입주ㆍ입점시기,점포구성 등의 조건이 변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러나 투자자들은 이미 투자한 돈을 돌려받기 어려운데다 딱히 의지할만한 법적인 장치가 없어 회사 측의 요구에 '울며 겨자 먹기'식으로 끌려갈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 같은 분쟁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사업의 불투명성을 꼽을 수 있다. 시장에서 검증받은 적이 없는 일회성 시행사들이 판치는 상황에서 정도경영을 고집하며 높은 분양성공률을 이어가는 우량 시행사들이 있다. 선진씨엠씨와 펄슨개발,기하건설,한국인프라디벨로퍼,아인디엔씨,다존건설 등이 바로 그런 회사들이다. 과도한 분양가 인상을 주도하는 등 시장 질서를 어지럽히는 한탕주의가 횡행하고 있는 가운데 화려함보다 내실을, 간판보다 실속을 중시하며 업계를 이끌어가는 '마켓 프런티어'들을 만나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