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 인수를 위한 예비입찰에서 한화 두산 금호 프라임 유진 삼환기업 등 6개 컨소시엄이 최종 입찰대상자로 선정됨에 따라 본입찰을 앞두고 이 회사 인수를 위한 합종연횡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최종 입찰대상자 선정에서 가장 비중이 높았던 기준은 역시 자금조달 능력.인수가격만 2조5000억∼3조원에 이르는 초대형 매물이어서다.


이에 따라 6개 컨소시엄이 교직원공제회 군인공제회 등 기업 인수·합병(M&A) 업계의 큰손들을 어떻게 끌어들이느냐에 따라 본입찰의 향배가 좌우될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채권단의 한 관계자는 이번 최종 입찰대상자 선정과 관련,"10개 컨소시엄의 자금조달 능력 등을 점검한 결과 진지성이 떨어지는 4곳을 탈락시켰다"고 설명했다.


씨티그룹의 자회사 CVC아시아퍼시픽은 컨소시엄조차 구성하지 않고 단독 입찰해 마이너스 점수를 받았으며 경남기업 컨소시엄은 지난해 12월 인수의향서(LOI)도 접수하지 않았던 데다 자금조달 능력도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채권단이 재정조달 능력에 큰 비중을 둠에 따라 향후 벌어질 본입찰도 각 기업이 얼마나 튼튼한 재무적 투자자를 끌어들이느냐에 따라 성패가 갈릴 것으로 보인다.


특히 예비입찰에 참여하지 않은 교직원공제회 군인공제회 등이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교직원공제회와 군인공제회는 대우건설 인수에 각각 5000억원 정도를 투자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또 예비입찰에 불참한 산업은행 하나은행 등도 본입찰 때 참여한다는 구상이다.


예비입찰은 법적구속력이 없어 본입찰 때는 컨소시엄을 변경해도 문제가 없다.


최종 입찰 때는 자금조달 능력과 함께 경영능력도 큰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채권단으로선 대우건설 지분 72.11%를 갖고 있는 만큼 '50%+1주'를 매각한 이후에도 대우건설의 경영 정상화가 빨라져야 채권회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우건설 노조가 내세운 평가 기준은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는 못할 것으로 보인다.


채권단은 특히 노조가 밝힌 '기피 기업'에 대해 불이익을 줄 생각은 전혀 없다고 밝히고 있다.


대우건설 매각은 2월 약식 실사→3월 말 본입찰→4월 우선협상대상자 선정→6월 매각 완료 순으로 진행된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