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연대가 삼성전자 등 주요 상장사의 올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않기로 방침을 정함에 따라 기업들은 심적 부담을 덜게 됐다. 고유가와 환율 하락 등 경영여건 악화로 비상경영을 선포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들이 매년 3월이면 치러야 했던 '주총전쟁'을 올해는 거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서다. 참여연대는 올해 삼성전자 주총이 이사선임 외에는 특별한 안건이 없는 데다 이건희 회장에 대해서는 검찰에 고발하는 등 법률적으로 대응하고 있어 주총에서 새롭게 이슈화하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있다. 또 두산은 회사측이 지배구조 개선을 약속했으며,현대자동차의 경우 이미 정의선 기아자동차 사장이 대주주로 있는 글로비스가 상장된 마당에 주총에서 문제사안이 해결되기 어렵다는 점을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 김상조 참여연대 경제개혁센터 소장(한성대 교수)은 "2001년부터 문제제기할 사안이 있을 때에만 주총에 참여키로 전략을 수정했다"며 "이미 알려진 내용을 주총장에서 거론해 봐야 무의미하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김 소장은 "그러나 주총에 가지 않는다고 해서 경영감시를 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며 검찰 고발이나 입법추진 운동 등을 통해 소액주주 운동을 계속해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참여연대의 이 같은 전략 수정은 소액주주 운동이 충분히 관심을 끌고 있는 마당에 주총에서 불필요한 마찰을 일으키는 게 더이상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SK텔레콤이 지난 99년 이후 참여연대 추천 사외이사를 선임하고 LG가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는 등 기업들의 지배구조가 많이 개선된 상황에서 주총장에서 '소란'을 일으킬 경우 여론의 역풍을 불러올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또한 작은 지분으로는 표대결에서 승산이 없다는 현실적인 한계도 감안해 고발이나 주주대표소송,입법 청원운동 등 실질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쪽으로 전략을 수정하고 있다. 어쨌든 기업들은 참여연대의 주총 불참에 대체로 반기는 분위기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지난해 삼성전자 주총의 경우 새로운 이슈가 없는 상황에서 참여연대가 참석했던 점을 들어 참여연대의 갑작스러운 방침 변화 가능성도 전혀 배제하지 않고 있다. 정태웅 기자 reda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