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대표적인 기업사냥꾼으로 꼽히는 칼 아이칸이 경영권 참여를 목적으로 KT&G 지분 6.59%를 전격 확보,2대주주로 부상했다. 칼 아이칸은 오는 3월 열리는 주주총회에서 이사 선임을 요구할 계획임을 밝혀 경영권 분쟁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외국계 펀드가 민영화된 공기업의 지분 인수와 함께 '경영권 참여' 방침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따라 '제2의 소버린 사태'가 우려되고 있다. 칼 아이칸이 운영하는 케이맨군도계 사모투자펀드인 '아이칸 파트너스 마스터 펀드'는 3일 KT&G 지분 6.59%(1070만주)를 매입했다고 금융감독원에 신고했다. 보유목적은 '경영참여'라고 밝혔다. 아이칸은 지난해 6월부터 특별 관계자인 4개 펀드를 동원해 KT&G 지분을 분산 매입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아이칸은 지분공시를 통해 △이사 및 감사의 선임·해임 △이사회 구성과 회사 정관변경 △배당 결정 등에 대한 영향 △회사의 합병·분할 등의 사항에 대해 영향력을 행사할 목적이 있다고 덧붙였다. 아이칸은 이와 함께 올해 KT&G 주총에서 자신이 지지하는 이사를 선임할 뜻을 공개적으로 밝혔다. 아이칸은 이에 앞서 지난해 말에는 대리인을 곽영균 KT&G 사장에게 보내 자회사인 한국인삼공사의 기업공개와 부동산 매각,자사주 소각,배당 확대 등을 요구하기도 했다. KT&G는 이에 따라 최근 300만주의 자사주 매입 소각을 결의한 바 있다. 업계에서는 외국계 펀드의 주가부양 정책 요구,지분 추가 매수,경영참여 선언 등이 2003년 소버린의 SK 경영진 재편 시도와 비슷한 전철을 밟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고경봉 기자 kg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