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이 연초부터 치열한 금리 경쟁에 돌입하면서 고정형 대출 상품의 금리 인상을 주저하고 있는 데다 시장금리 연동형 상품의 지표금리인 CD(양도성예금증서) 금리도 콜금리 인상을 미리 반영, 향후 추가 상승 여지가 적을 것이라는 분석으로 9일 콜금리 인상에 대한 소비자들이 여타 콜금리 인상때보다 느끼는 대출금리 부담은 적을 것으로 보인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10일 "고시금리 대출 상품에 적용하는 금리의 조정 부가 아직 결정되지는 않았지만 이들 상품에 대한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콜금리가 오르면서 대출금리 인상 압력을 느끼는 것은 사실이지만 은행간 대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어 금리 인상을 결정하는 것이 어느 때보다 어렵다"고 말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금리를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인 장기채권금리가 콜금리 인상에도 떨어지고 있어 굳이 고시금리 상품에 대한 금리 인상에 나설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업은행 관계자도 "영업 확장을 위해선 대출금리를 그대로 가져가는 것이 좋고 리스크 관리를 위해선 콜금리 인상폭을 따르는 것이 좋지만 이번엔 양측의 주장이 모두 팽팽해 결정을 내리기 쉽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2005년 12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동향'에 따르면 신규 취급액을 기준으로 한 예금은행의 저축성 수신 평균금리는 12월 한달동안 0.18%포인트 급등한 반면, 대출금리는 전월대비 0.03%포인트 오르는데 그쳤다. 이는 은행들이 콜금리 인상 이후 예금금리는 신속하게 올리면서 대출금리 인상은 주저할 만큼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경닷컴 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