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은행권도 정부가 발표한 자본시장통합법에 지대한 관심을 표명하고 있습니다. 은행권은 법안의 취지에는 동의하면서도 역차별이 있어서는 안된다는 입장입니다. 계속해서 최진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은행권은 자본시장통합법이 이미 예고되었던 만큼 당장 은행 경영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특히 1년간의 유예기간과 입법과정을 거치면서 정부안에 일부 수정이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은행권은 내심 자본시장통합법으로 역차별을 받지나 않을까 우려하는 분위기입니다. (S1) (은행연합회, TFT 구성 예정) 은행연합회는 정부안이 발표됨에 따라 회원사들과 테스크포스팀(TFT)을 구성해 은행에 절대적으로 분리한 조항에 대해서는 제 목소리를 내겠다는 방침입니다. 특히 주목하는 부분은 결제기능과 금산분리 원칙입니다. (S2) (은행권,"결제기능 신중한 접근 필요") 대부분의 은행들은 은행 고유의 결제기능을 금융투자회사도 행사할 경우 은행의 고객기반이 침해당하는 한편 금융회사의 신용위험관리가 느슨해질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S3) (금산분리 정책원칙 일관성 기대) 또 산업자본의 은행소유를 막는 금산분리 원칙이 결제기능 공유로 흔들릴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금산분리 원칙의 재확인도 필요하다고 설명합니다. 여기다 이미 자의반 타의반으로 구조조정과 인수합병을 마친 은행권은 과연 정부의 의도대로 확실한 주인이 버티고 있는 증권,선물,자산운용업계가 합종연횡에 나설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반응까지 보이고 있습니다. 반면 자본시장통합법을 금융혁신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습니다. (S4) (은행권 직접금융 역량 키워야) 간접금융에서 직접금융의 시대로 금융환경이 변한만큼 파생금융상품과 M&A를 비롯한 기업금융, 각종 구조화 상품(Structured Finance)에 대한 은행권의 역량을 높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S5) (영상편집 신정기) 결국 은행권은 금융 빅뱅의 서막이 울린 만큼 환경에 맞춰 얻을 것은 얻고 배울 것은 배운다는 생각이지만, 은행권에 대한 역차별에는 단호하게 대응할 것으로 보입니다. 와우TV뉴스 최진욱입니다. 최진욱기자 jwchoi@wowtv.co.kr